• 복지 포퓰리즘이 부른 세계 경제 위기를 보고도... 
      위기의 원훙(元兇)이, 저질 정치인들의 선동적 복지 공약(公約)임이 밝혀졌는데도 한국의 정치가 그 망국(亡國)의 길을 따라가고 있다.
    趙甲濟   
     
     미국과 남유럽 국가(그리스,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의 국가 부채(負債) 위기가 세계 경제 위기를 부르고 한국도 그 한가운데서 피해를 보고 있다. 국가부채 위기의 공통점은 정부가 복지부문에 너무 많은 돈을 쓴 때문이다. 오늘의 세계적 경제위기는 ‘복지 포퓰리즘 위기’라고 부를 만하다. 위기의 원흉(元兇)이, 저질 정치인들의 선동적 복지 공약(公約)임이 밝혀졌는데도 한국의 정치가 그 망국(亡國)의 길을 따라가고 있다. 어리석은 국민들은 분별력을 잃고, 이런 선동가들을 당선시킨다. 정치꾼들은 유권자들의 왼쪽 호주머니에 있는 돈을 훔쳐 오른쪽 호주머니에 찔러주면서 천사 행세를 하고 유권자들은 “고맙다”고 감격해 한다.
     
     국민교양의 바탕이 약한 곳에서는 대중(大衆)민주주의가 선동꾼과 사기꾼들에게 이용당하여 국가를 분열시킨다. 눈앞에서 그런 선동의 막장이 불러온 세계 경제 위기를 지켜보면서도 한나라당 민주당 민노당은 복지 포퓰리즘 경쟁으로 국민들을 속여, 정권을 유지하거나 빼앗으려 한다.
    국민 돈으로 선거운동하고 생색을 내는 행위가 ‘무상(無償)복지’라는 사기적(詐欺的) 용어로 그 위험성이 은폐된다. 복지에 들어가는 돈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이므로 아무도 갚지 않아도 되는 것이란 인상을 준다.
    모든 사기(詐欺)는 명사(名詞)의 사기이다. 한나라당의 원내대표란 자는 “0세 영아에 대한 무상보육엔 1조 원도 들지 않는다”고 했다. 1조원이면 건축비 1억 원짜리 집을 1만 채 지을 수 있는 돈이다. 1만 채면 약 3만 명이 산다. 군(郡) 인구이다. 1개 신도시를 건설할 수 있는 규모의 국민세금을 강제하는 공약(公約)을 하면서 마치 껌 값처럼 이야기한다.
     
     미국은 2030~2040년 사이 사회보장, 의료보험, 의료보험으로 지출되는 돈과 이에 따른 이자(利子) 부담이 연방정부의 전체 예산을 초과하게 된다. 경제성장이 더디고, 인구는 고령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국방비, 치안(治安)경비, 교육비는 국채(國債)를 발행하여 빌려 써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미국의 국내총생산 대비 국가부채 비율은 100%이다. 일본은 200%이나 국채 소유자들이 거의 국내인이라 부도(不渡) 염려는 없다. 복지 포퓰리즘으로 흔들리는 유럽 국가들은 국내총생산 대비 국가부채 비율이 스페인 74%, 포르투갈 97%, 이탈리아 130%, 아일랜드 93%, 그리스 130%이다. 한국은 이 비율이 35% 전후(前後)라고 발표되고 있으나 유럽의 회계기준을 적용하면 80% 이상이란 주장이 설득력 있다.
     
     지방에 가 보면 인구 20만 명의 도시가 서울의 정부종합청사보다 더 큰 시청 건물을 가진 경우가 적지 않다. 한적한 4차선 도로를 달리면 앞 뒤 2~3km 안에 자동차가 한 대도 보이지 않는 때도 있어 활주로를 연상시킨다. 이용자가 하루 수십 명인 공항도 있다. 월드컵을 위하여 지은 축구장은 연간 수십억 원의 적자(赤字)이다.
    이런 것들을 볼 때마다 “이렇게 낭비하고도 어떻게 나라가 굴러갈 수 있을까”하는 원초적 의문이 든다. “이렇게 쓰는 사람들은 인기를 얻고, 그렇게 쓰도록 열심히 묵묵히 돈을 벌어들이는 사람들은 욕을 먹는 사회가 과연 오래 지탱할까?”라는 걱정도 생긴다.
     
     복지 포퓰리즘의 바탕엔 강도의 심보가 있다. 누가 나에게 재벌 회장 아들의 점심값과 교육비를 내라고 강요하면 “이 강도야”라고 화를 내면서 옆에 두고 자는 야구방망이로 머리통을 갈길 것이다. 정치인이 중간에 끼여들어 ‘세금강제급식’이나 ‘반값 등록금’을 정부 정책으로 만들면 나는 합법적으로 털린다.

     복지 포퓰리즘의 바탕엔 공짜심리가 있다. 이 공짜심리가 약탈로 나타난다. 그들은 약탈을 덮기 위하여 자신들이 착취당하고 있다고 아우성부터 친다. 국가기관을 동원, 부자들과 성실하게 살아가는 이들의 돈을 약탈하면서 부자들에게 감사하기는커녕 “너희들이 착취해간 돈을 찾아가는 것뿐이다”고 자랑한다. 한나라당의 대표란 자는 공중파 방송 인터뷰 현장에서 “대기업 하면 먼저 착취라는 말이 연상 된다”고 말하였다.
     
     복지 포퓰리즘의 이념은 사회주의이다. 사회주의가 정치적으로 표현되면 스탈린, 모택동(毛澤東), 김일성 같은 악마적 전체주의를 만들고 경제적으로 표현되면 자본가 탄압과 낭비적 복지가 된다. 자본가를 억압하면 세금을 많이 거둘 수 없어 복지가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사회주의자들은 복지 예산을 늘린다. 인기를 올리려고 증세(增稅) 대신 기채(起債)를 선택하니 국가부채가 늘어난다.
    사회주의, 공산주의를 통칭하는 좌익들은 악당의 제자들이다. 공산주의라는 재앙에 이어 국가부도 사태라는 두 번째 재앙을 불러온 자들이다. 

     한국인들은 공산주의로 인하여 수백 만 명이 죽는 전쟁을 겪고도, 국제공산주의가 망하는 꼴을 보고도, 그것도 모자라 좌파적 정치세력이 불러온 국가부채로 인한 세계경제위기를 당하고도 이 악(惡)의 세력이 정치판을 주름 잡도록 허용하였다.

      한국인들은 강도(强盜)를 안방으로 불러들였다. 피터지게 싸워서 강도를 쫓아내든지 강도에게 집을 넘기고 거리로 나앉든지 결단을 강요당하고 있다.
     ,,,,,,,,,,,,,,,,,,,,,,,,,,,,,,,,,,,,,,,,,,,,,,,,,,,,,,,,,,,,,
     
     "한국의 실질적 국가채무(債務)는 정부 발표의 두 배 이상"
     인천대 옥동석 교수 및 한나라당 이한구(李漢九) 의원의 정부 계산 기준 비판
     
     趙甲濟
     
      한국 정부가 발표한 2010년 예산 기준 국가(國家)채무는 407조 원이며, GDP 대비 36.1%이다. 정부는 OECD 평균인 91.6%에 비해 낮고, 국가채무 건전성이 28개 OECD국가 중에서 높은 편이란 점을 늘 강조한다. 정부가 국제기준에 맞지 않는 계산기준을 적용, 국가채무 비중을 의도적으로 낮추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이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한 사람은 인천대 옥동석 교수이다. 그는 UN, EU, IMF 등 국제기관에서 권고한 계산기준을 한국에 적용하면 국가채무는 무려 두 배 이상 늘어난다고 주장한다. 옥동석 교수의 문제 제기를 근거로 한국경제연구원(2010)은『국가채무 관리 어떻게 해야 하나(2010년 8월)』라는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실질적인 국가채무는 정부 발표보다 훨씬 많다고 아래와 같이 주장했다.
     
      <한국의 경우 국가채무 포함 범위가 국제기준에 비해 자의적이고 협소하여 정부 발표의 국가채무 통계로 국제 간 비교를 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국제비교를 위해서는 정부 정책을 대행(代行)하는 공기업의 부채, 국회의 예산심사와 의결을 거치는 금융성 기관의 부채, 통안(通安)증권, 외환보유고 관리 등 중앙은행의 준(準)재정 활동으로부터 야기되는 부채, BTL(임대형 민간투자사업), 연금(年金) 분야의 책임적립금 등이 국가채무에 포함되어야 한다. 정부가 발표한 2007년도 국가채무는 298.9조원으로 GDP 대비 33.2%에 달하는데, 여기에 금융성 기금 및 특별회계 부채를 포함하면 429.1조원으로 GDP 대비 47.7%로 증가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準정부기관의 부채를 더하면 519.6조원으로 57.7%, 통안증권과 BTL을 포함할 경우 690.5조원으로 GDP 대비 76.7%로 증가한다. 공기업의 분류를 확대하여 275개 공기업의 부채를 국가채무에 포함하고 정부의 대(對)민간보증을 포함하면 우리나라 국가채무는 1,171.6조원으로 증가하여 GDP 대비 130%에 달한다.>
     
      한나라당 이한구(李漢九) 의원은, 기획재정부가 발표하는 채무를 협의(狹義)의 국가부채로 보고, 2009년 기준으로 4大 공적연금(年金) 책임준비금 부족액(769조원), 準정부기관 및 공기업 부채(310조원), 통화안전증권잔액(149조원), 보증채무(30조원) 등 광의(廣義)의 국가부채를 포함한 국가채무는 1,637조원에 달한다고 주장하였다.
     
      외환위기 이전에는 GDP 대비 12% 수준에 그쳤던 국가 채무 비중이 2010년에는 36.9% 로 급증한 것도 문제이지만, 국채(國債)의 성격이 악화되고 있다. 1997년에는 적자성(赤字性) 채무와 금융성 채무의 비율이 20:80 수준이었으나, 2003년에는 36:64, 2010년에는 49:51 수준으로 적자성(赤字性) 채무의 비중이 상승하고 있다. 이런 사실을 지적한 한남대학교 행정학과 김철회씨의 논문 ‘공공채무의 체계적 관리방안’에 따르면 이렇게 심각한 국가채무 관리가 일반직 공무원에 의하여 다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2010년 현재 정부의 국가채무관리는 기획재정부 재정정책국 재정기획과에서 일반직 공무원이 담당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재정(財政)에 대한 충분한 전문성을 지니고 있는 조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전문성을 지닌 별도조직이 없고, 일반직 공무원에 의해 업무가 수행되고 있다는 점은 영국이 국가채무관리를 위한 전문기관인 DMO(Debt Management Office)를 두고 있다는 점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체계적 관리의 수준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金씨는 의문이 많은 한국 정부의 국가채무 통계를 근거로 한국의 재정(財政)건전성이 안심할 수준이라고 믿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하였다. 그는 <미국의 경우에는 달러가 국제통화이기 때문에 국채(國債)발행이 쉽고, 대표적인 안전자산이기 때문에 GDP 대비 국가채무 비중이 재정건전성과 깊은 관련이 없다. 일본의 경우에는 GDP 대비 국가채무의 비중이 192%로 세계 최고수준이나 국가채무의 대부분이 국내(國內)채무이고, 엔화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 재정건전성에 문제가 없다. 반면 중남미 국가들은 GDP 대비 국가(國家)채무비율이 35-45%임에도 빈번한 국가채무 위기를 겪고 있다(강성원 외, 2010)>고 지적하였다.
     
      자칫 잘못 관리하면 국가부도 사태를 부를 국가 채무(債務)에 대하여 정부 발표를 믿을 수 없다는 건 심각한 문제이다. 자동차 속도판 숫자를 믿을 수 없다는 것과 같다. 실제론 시속 100KM로 달리는데 계기판엔 50KM로 나타난다면 치명적 사고는 시간문제이다. 한국 사회가 후진성(後進性)을 벗어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정직(正直)의 결여이다. 정부가 거짓 자료로 국민들을 속이고, 정치권은 재정(財政)이 건전하다는 자료를 근거로 망국적(亡國的) 복지포퓰리즘을 마음 놓고 펼친다면 대한민국이란 자동차는 신호등이 고장 난 거리를 질주하고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