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여연대가 천안함 조사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서한을 유엔 안보리에 발송,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참여연대의 친북, 종북세력 여부에 대한 공개검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사단법인 민생경제정책연구소는 16일 논평을 내고 “북한의 박덕훈 차석대사가 참여연대 주장에 동감한 것은 유감”이라며 “참여연대 행동으로 국론이 분열되고 국가 이익에 손실을 끼쳐 국민들이 분개하고 있다”고 전했다.

    민생연은 참여연대 사태를 일반적 이념 갈등으로 봐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보수, 우파, 중도, 진보, 좌파라는 이념적 용어와 이념간의 갈등이 부각되는 동안 친북세력들은 때론 좌우에, 때론 중도에 암약해 이념갈등을 교묘히 조장해왔다”고 주장했다.

    참여연대의 의혹제기 활동이 시민단체 본연의 활동으로 볼 수 없다는 입장도 분명히 했다. 이들은 “의혹이 있다면 당연히 정부나 시민사회에서 먼저 그 의혹을 푸는 노력을 했어야 한다”면서 “의혹을 가진 입장에서 집권여당이나 정부와 대화가 불편했다면 야당과 의혹을 풀기위한 활동들을 했어야 옳다”고 말했다.

    또한 서신의 목적과도 부합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민생연은 “안보리는 조사하는 일을 하는 곳이 아니라 조사 결과를 검토하고 합당할 경우 그에 대한 조치를 취하는 곳”이라며 “안보리에 재조사를 요구하는 것은 번지수를 잘못 찾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재조사를 원했다면 국내에서도 얼마든지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다”면서 “성급히 안보리에 서한을 보낸 것은 대한민국이 펼치는 외교적 노력을 방해하는 친북·종북행위로 보여진다”고 전했다. 이어 “참여연대가 친북·종북의도가 있는 것인지 공개 검증해야 한다. 대한민국내 친북·종북세력이 암약한다면 올바른 대북전략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민생연은 같은 날 세종문회에서 열린 ‘새로운 대북전략 2012’ 토론회에서 친북·종북세력 검증을 위해 오는 7월 시민사회대연합을 만들자는 것을 공식제안 했다.

     
    <민생연 논평>
    참여연대, 친북·종북세력인가 공개검증하겠다.
     
    북한의 박덕훈 차석대사가 참여연대의 주장에 동감을 표시했다고 한다. 의도가 어찌되었던 참여연대가 유엔 안보리에 천안함 사태와 관련한 서한을 보낸 것이 대한민국의 국론을 분열하고, 국가의 이익에 손실을 끼쳤다고 많은 국민들이 분개하고 있다.
     
    이번 참여연대 사태를 일반적 이념으로 보는 것은 위험하다. 보수던 진보던 애국을 떠나선 어떠한 이념도 존재해서는 안된다. 그동안 보수, 우파, 중도, 진보, 좌파라는 이념적 용어와 이념간의 갈등이 부각되는 동안 친북세력들은 때론 좌우에, 때론 중도에 암약하며 그들의 입지를 넓혀왔다. 아니, 친북세력이 이념갈등을 교묘히 조장해왔다.
     
    이러한 의혹제기 활동이 시민단체로서 본연의 활동이라는 참여연대의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 의혹이 있다면 당연히 정부나 시민사회에서 먼저 그 의혹을 푸는 노력을 했어야 한다. 의혹을 가진 입장에서 집권여당이나 정부와 대화가 불편했다면 비슷한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야당과 의혹을 풀기위한 활동들을 했어야 옳다. 국내에서 논평이나 성명을 내는 것하고 유엔에 서한을 보내는 것은 엄연히 다르다.
     
    더구나, 서신의 궁극적인 목적이 천안함과 관련해서 조사결과가 믿기 어려우니 다시 조사해 달라는 것이라면, 번지수도 잘못되었다. 안보리는 조사하는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조사결과를 검토하고 합당할 경우 그에 대한 조치를 취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재조사를 원했다면 국내에서도 얼마든지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다. 참여연대가 성급히 안보리에 서한을 보내는 것은 대한민국이 펼치는 외교적 노력을 방해하는 친북·종북행위로 보여진다. 과연 참여연대가 친북·종북의도가 있는 것인지 공개검증해야 한다. 대한민국내 친북, 종북세력이 암약한다면 올바른 대북전략은 불가능하다.
     
    오늘 16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리는 ‘새로운 대북전략 2012’ 토론회에서 친북·종북세력 검증을 위해 오는 7월 시민사회대연합을 만들자는 것을 공식제안할 예정이다. 
     
    2010.6.16.
    사단법인 민생경제정책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