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Notice: Undefined offset: 0 in /webstore/pub/www/htdocs/svc/article/article.www.template.inc.php on line 4

北軍, 댐방류전 감시정찰 의도는

입력 2009-09-12 12:57 수정 2009-09-12 12:59

북한이 남측 민간인 6명의 생명을 앗아간 황강댐 방류 수 시간 전인 5일 오전 해당 지역 인근 군사분계선(MDL)을 정찰한 것으로 드러나 그 의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2일 군 당국 등에 따르면 북한군 병사 10여명이 지난 5일 오전 9시께 비무장지대(DMZ) 내 북한 초소를 벗어나 MDL 북방한계선까지 내려와 2시간가량 정찰활동을 벌인 뒤 정오께 북으로 돌아갔다.
이를 놓고 사실상 황강댐을 관리하는 북한군이 4천만t이라는 대규모 방류에 앞서 상황을 관찰하기 위해 정찰했거나, 정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방류를 결정했을 가능성 등 댐 방류와 북한군 정찰을 연결하는 시각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국회의 한 국방위원은 "군남댐 공사를 지연하기 위해 방류했을 가능성도 있지만 당시 우리 1개 중대가 강에서 야영하는 등 전투훈련 중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북한이 우리의 전투력을 시험하려 물을 흘렸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북한군이 MDL 정찰 직후 자신들이 관리하는 황강댐의 수문을 열어 물을 대량으로 방류한 만큼 그 연관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는 주장인 셈이다.

6일 새벽 북한이 댐을 방류했을 때 민간인 6명이 물에 휩쓸린 것과 별개로 임진강 하류에서 훈련 중이던 전차부대의 전차 1대가 물에 잠겼고 비록 초병의 발 빠른 대처로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당시 숙영 중이던 부대원들도 위험에 처할 뻔했다.

현인택 통일부 장관이 지난 9일 구체적 근거를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북한이) 의도를 갖고 했다고 보고 있다"며 북한의 `의도성'을 강조한 것도 이 같은 북한군의 정찰활동을 하나의 판단의 근거로 삼은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군은 북한군의 정찰과 댐 방류를 연결시키는 시각을 경계했다.
군의 한 관계자는 "북한군 10여명이 5일 오전 DMZ 북방한계선까지 내려와 수색정찰을 한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이는 우리의 DMZ 수색정찰과 같은 개념의 일상적인 감시정찰 활동으로 이를 댐 방류와 연관시키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군이 관측 장비를 이용해 수색정찰을 하더라도 당시 임진강 하류에서 훈련 중이던 우리 전차부대를 볼 수 있는 위치가 아니다"라며 "북한군의 DMZ 수색정찰 시 우리 군은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당시 북한군은 평상시와 마찬가지로 오전 내내 수색정찰을 한 뒤 되돌아갔고 평소와 다른 점도 없었다"고 전했다. (서울=연합뉴스)

Notice: Undefined offset: 0 in /webstore/pub/www/htdocs/svc/article/article.www.template.inc.php on line 429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구·경북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윤서인의 뉴데툰

특종

미디어비평

뉴데일리 칼럼 프린트 버전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