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일보 9일 사설입니다. 네티즌의 사색과 토론을 기대하며 소개합니다. 

    작년 말,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의 조합원이 7만7700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1년 동안 9200여 명이 줄어들었다. 전교조 가입 교사는 2003년 9만3860명을 정점으로 해마다 감소해 왔으나 ‘탈퇴가 쉽지 않은 조직 분위기 속에서’ 이처럼 격감하기는 처음이다. 과격한 정치투쟁 조직이자 교사 이익만 대변하는 단체라는 인식이 국민 사이에 확산되면서 염증을 느낀 조합원 교사들의 이탈과 신규 가입 기피 현상이 겹쳤다.

    전교조는 작년 초 정진화 위원장 취임과 함께 ‘아이들 속으로, 학부모 곁으로’라는 구호를 내걸고 ‘변신’을 선언했으나 이후에도 달라지지 않았다. 지난해 3월 ‘국가보안법 폐지를 위한 교사선언’을 했고 4월 반(反)자유무역협정(FTA) 계기수업, 6월 한미 FTA 무효화 투쟁, 8월에는 이랜드 사태 연대투쟁을 하는 등 정치적 색채를 계속 드러냈다.

    지난 대선을 앞두고 전교조가 특목고 정책을 집중 성토한 것도 교육을 정치적 목적에 이용한 사례의 하나다. 한나라당이 특목고를 늘리는 공약을 들고 나올 것이 분명했으므로 ‘특목고의 문제점’을 부각시켜 맞불을 놓겠다는 계산이었다. 전교조는 교사들의 무사안일 풍토를 바로잡자는 교원평가제를 극력 반대했고 국회는 교육계 실세인 전교조 눈치를 보느라 법제화를 외면했다. 평가제 반대는 전교조가 조합원 잇속을 챙기는 단체임을 거듭 확인시켰다. 현 정부가 전교조의 주장을 받아들여 도입한 수능시험 등급제는 올해 대학입시에 대혼란을 초래했다. 이 또한 좌파적 평등이념만 앞세울 뿐, 교육 현실에는 어두운 전교조의 실체를 생생하게 보여 줬다.

    전교조의 활동에 대다수 국민이 등을 돌렸기 때문에 세력 축소는 자업자득이요, 필연이다. 이명박 정부는 노무현 정부가 전교조에 끌려 다니면서 교육 현장을 더 피폐하게 만들었음을 반면교사 삼아 전교조의 불법적 활동은 물론이고 반(反)교육적 행태에 대해서도 단호히 대처해야 한다. 교육 수요자인 학부모들도 이에 적극 호응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