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일보 29일 사설입니다. 네티즌의 사색과 토론을 기대하며 소개합니다.

    한나라당 대선 예비후보 5명이 28일 서울에서 종합 정책토론을 가졌다. 지난달 29일 광주에서 경제분야 토론을 시작으로, 지난 8일 부산에서 교육·복지분야, 지난 19일 대전에서 외교·안보분야 토론을 가진 데 이어 네 번째 토론이자 마지막 정책토론이었다.

    종합토론은 앞서 세 차례 토론에 비해 각 후보의 정책공약에 대해 묻고 답하는 데 상대적으로 충실한 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번에 두 시간씩, 네 차례 토론을 지켜본 솔직한 감상은 무슨 말을 들었는지 아무 기억이 남지 않는다는 것이다.

    가령 이명박 후보의 대운하 공약이 타당성이 있는지 문제점은 없는 것인지, 박근혜 후보가 깃발로 내건 ‘대처리즘’이 21세기 대한민국 현실에도 유효한 것인지는 네 차례 토론에서 끊임없이 질문과 답변이 이어졌다. 그러나 질문도 답변도 계속 원점을 맴돌았을 뿐 의문이 해소된 부분을 찾기 힘들었다. 후보들이 질문에 답하기보다는 자신이 하고 싶은 주장만을 되풀이하는 ‘동문서답’이 오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이명박·박근혜 두 사람은 현재 국민들의 지지를 가장 많이 받고 있는 대선 주자들이다. 두 주자가 내건 공약들은 앞으로 5년간 대한민국의 진로를 결정할 가능성이 꽤 높은 셈이다. 국민들은 두 주자가 내건 정책들이 정말 이 나라를 선진국으로 이끌 수 있을 것인지, 반대로 이 나라를 나락으로 빠뜨릴 위험은 없는지를 철저히 따져봐야 한다. 그러나 네 차례 토론회는 만족할 만한 답을 주지 못했다.

    한나라당 후보 토론에 굳이 의미를 부여하자면 앞으로 후보들에게 무엇을 더 묻고 답을 들어야겠다는 ‘질문 리스트’가 마련됐다는 점이다. 앞으로 경선과정에서 있을 추가 토론회는 옥석을 분명히 가리는 ‘끝장 토론’ 방식이 돼야 한다. 또 후보들은 토론회장 밖에서도 서로의 정책적 견해에 대한 치열한 논쟁을 이어가야 한다. 누구의 정책이 더 옳으냐를 놓고 싸운다고 해서 나무랄 국민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