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나라당 서울시당위원장인 박진 의원이 대선후보 경선방식과 시기 논란과 관련, 당 지도부의 책임론을 강력히 제기하고 나섰다. 박 의원은 "경선 시기와 방법 논의가 조기에 종결되지 않는다면 그 책임은 당 지도부가 져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1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지금 국민들은 경선의 룰조차 합의하지 못하는 당의 모습을 우려깊게 쳐다보고 있으며, '과연 당 지도부는 어디로 갔느냐'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박 의원은 "대선후보를 선출하는 경선시기와 방식은 중요한 문제이긴 하지만 냉철히 판단해보면 이 문제는 당이 죽고 사는 문제도, 국민에게 절박한 문제도 아니다"며 "당 지도부는 그 누구의 눈치도 보지말고 당의 중심을 잡아나갈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당내 경선준비기구인 국민승리위원회와 최고위원회의간 '공 떠넘기기'에 대한 비판과 함께, 강재섭 대표의 결단을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박 의원은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부동층 역시 약 10%포인트 가량 늘었다"면서 "우리가 집안 싸움에 치중하는 사이 여권이 진열을 재정비하고 권력을 바탕으로 대대적인 공세를 펼쳐올 경우 지금과는 전혀 다른 상황이 펼쳐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최근 검증공방, 경선룰 공방 등을 거치며 후보들의 지지율이 하락하고 있는 것을 묵과해서는 안된다"고 말해 조기경선 실시 입장을 시사하기도 했다.

    당내 예비후보 진영에도 박 의원은 경고성 메시지를 전했다. 박 의원은 "후보간 논쟁이 격화되면서 지역에서는 분열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며 "작금의 상황은 줄세우기를 넘어 '세 과시'까지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정 경선의 책임을 지고 있는 시당위원장으로서 그동안 당내 문제에 대해 말을 자제해왔지만, 최근 서울의 상황은 위기상황으로 치닫고 있다"고 적시한 뒤, "예비후보간 갈등심화와 함께 당 지도부가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박 의원은 지역 당원협의회 조직의 분열을 막고 특별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16개 시도당위원장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박 의원은 "몇몇 시도당 위원장들과 이미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예비후보들이 경선룰을 지키고 결과에 불복하지 않도록 당 지도부와 함께 강력한 울타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앞선 지난달 특별성명을 통해서도 "당원들은 당내 예비후보 진영간 과열경쟁이 갈등과 분열로 치닫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며 당의 통합과 화합을 저해할 경우 시당차원에서 윤리위를 소집해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