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동당은 27일 경찰의 과잉진압에 의한 농민사망 사건과 관련한 허준영 경찰청장의 오전 기자 회견 태도를 문제삼으며 “항명 아니냐”면서 허 청장의 사퇴를 강력 촉구했다.

    민노당 박용진 대변인은 이날 오후 기자브리핑을 통해 “대통령이 사과하고 머리 조아리는데 직접적인 당사자는 ‘못 물러나겠다’고 하는데 경찰청장이 대통령 위에 있는 것 아니냐”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변인은 그러면서 “청와대가 오후에 입장을 발표한다고 하니 (허 청장이) 오전 기자회견을 통해 ‘나는 못 물러나니까 알아서 하라’는 것 아니냐”면서 발끈하기도 했다.

    박 대변인은 “허 청장은 ‘임기제 총장이기 때문에 자신의 임기를 모두 마치겠다’는 입장인 것 같다”면서 “임기제라는 것이 잘못하고 책임져야 하는 일이 있음에도 보장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며 “허 청장의 기자회견은 뻔뻔하기까지 했다”면서 재차 사퇴를 요구했다.

    박 대변인은 이어 “법리적 책임과 대통령의 문책보다 무서운 것은 국민들의 질책과 비판의 목소리”라면서 “경찰의 수장으로서 이같은 국민들의 비판과 질책을 더 무섭게 여기고 도덕적 책임을 분명히 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허 청장은 이날 오전 경찰청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인권과 안전을 책임져야 하는 경찰이 그 소임을 다하지 못한 데 깊이 자책하며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나 자신의 거취 문제에 대해서는 ”임기제 총장으로 평화시위 정착 노력이 내 임무다. 거취는 내가 결정할 게 아니다“며 사퇴 의사가 없음을 보였다.

    박 대변인은 이와 함께 이날 오후 노무현 대통령의 사과 기자회견에 대해서도 “대단히 미흡하다”면서 “노 대통령의 사과가 진실된 사과로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사과 내용에 대한 후속조치가 분명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박 대변인은 “말로만 사과하면서 책임자 문책을 거부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면서 “법적인 권한 타령을 하기 앞서서 자신에게 부여된 임명권자로서의 권한을 행사하지 않는 것은 허 청장에 대한 재신임이고 문책을 요국하는 국민들의 요구에 대한 정면거부"라고 노 대통령을 강력히 비판했다.

    박 대변인은 또 노 대통령이 사과 기자회견에서 ‘쇠파이프를 마구 휘두르는 폭력시위가 없었다면 이러한 불행한 결과는 없을 것’이라고 언급한 데 대해서도 “사과기자회견에서 농민단체를 나무라고 시민사회단체의 책임의식 결여를 지적한 것은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국가가 생존권을 앗아가는 원천적인 폭력을 자행했음에도 반성하지 않고 오히려 농민단체와 시민사회단체의 책임을 언급하는 것은 대통령으로서 적절하지 않다”면서 “반성하고 대책을 세우는 것이 우선이지 시위 문화 운운하며 책임을 분산시키려는 태도는 부적절하다”고 공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