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3일 대만을 강타한 규모 7 이상의 강진에도 현재까지 인명피해가 예상보다 적은 것은 25년전 대참사를 확실히 기억하고 학습한 효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1999년 9월 약 2400명이 사망하고 10만명이 다친 지진을 본보기삼아 현재는 지진 대비능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키운 결과다.

    현지시각으로 3일 오후 10시 기준 당국집계에 따르면 이번 지진으로 9명이 숨지고 1011명이 부상했다.

    피해규모는 더 늘어날 수 있지만 이번 지진의 파괴력에 비교하면 인명피해가 크지 않다는 평가다.

    25년전 대참사를 교훈삼아 건물 내진 설계와 성능을 강화하는 등 제도를 정비하고 안전 캠페인 등으로 인명 피해를 줄였다는 평가다.

    워싱턴포스트(WP)는 대만은 1999년 참사 이후 보다 엄격한 건설 규제를 지시했고, 이런 노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상자 수를 설명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1980년 이후 대만과 그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0 이상 지진은 약 2000회, 규모 5.5 이상은 100회가 넘는다.

    1999년 강진 당시 대규모 인명피해는 물론 건물도 5만채가 파손되는 등 큰 인명·재산 피해를 겪었다.

    이후 대만 정부는 관련 제도 정비에 나섰다.

    지진 등 재난 대비에 관한 법률을 통과시켰고, 대응 및 훈련을 담당하기 위해 2개의 국가급 센터를 설립했다.

    신축 건물은 내진 설계 기준을 높이는 동시에 기존 건물의 내진 성능도 끌어올리는 작업도 병행했다.

    WP에 따르면 2019년부터 대만 당국은 노후 건물 재정비를 위한 캠페인에 착수했다.

    이에 따라 당국은 1999년 이전에 지어진 전국의 건물 3만6000채에 대한 대대적 점검 작업을 실시하고, 이들 건물의 내진 성능을 개선하는 데 보조금을 지급했다.

    WP는 1999년 지진 이후 재건을 도운 건축가 루친원의 발언을 인용해 "신규 규정에 맞춰 지어진 규정이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됐을 것"이라며 "건물이 파손되더라도 무너지지 않는다면 인명피해는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시민의식 개선과 더불어 기술 강국으로서의 면모도 보였다는 평가다.

    블룸버그통신은 대만을 반도체 강국으로 만든 기술 전문성이 이번 최악의 지진 피해도 최소화로 막았다고 보도했다.

    또 재난 대응 시스템의 발전도 피해를 줄였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