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통합위 산하 '자살 위기극복 특위' 발족한지아 을지의대 교수 위원장 외 12인 구성자살 위기극복 위해 각 부처, 시민단체 연계'국가 자살통합데이터 시스템' 구축 등 논의
  • ▲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뉴데일리
    ▲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뉴데일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인구 10만명당 23.6명)라는 오명을 벗어던지기 위해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김 위원장은 16일 자살 예방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살 위기극복 특별위원회'를 출범시키고, 갈수록 심각해지는 자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범정부적인 대응을 펼쳐 나가기로 했다.

    "삶을 포기하려는 사람에 대한 '관심의 끈' 놓지 않을 것"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 13층 대회의실에서 '자살 위기극복 특별위원회' 출범식과 제1차 회의를 개최한 김 위원장은 "세계에서 7번째로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 이상이면서 인구가 5000만명이 넘는 '3050클럽'에 가입할 정도로 대한민국의 위상이 높아졌으나, 노인 자살률이 다른 나라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높고, 10·20·30대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이라는 얘기는 우리 모두를 슬프게 한다"고 지적했다.

    보건복지부·국토교통부·경찰청·소방청 등 여러 부처가 자살의 요인을 진단하고 예방하기 위해 애쓰고 있으나, 부처 간 보다 긴밀한 협력을 당부한 윤석열 대통령의 뜻에 따라 '자살 위기극복 특별위원회'를 출범시키게 됐다고 설명한 김 위원장은 "향후 자살의 요인이 되는 다양한 원인들을 객관적으로 규명하는 것은 물론, 각 부처들이 미처 고려하지 못한 이슈들을 선제적으로 발굴해 실용적인 해법을 제시하는 작업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자살은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닌, 가족·학교 등 우리 사회 공동체 내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빚어진 결과물로 인식되고 있다"며 "우리 특위가 자살률에만 집착할 것이 아니라, 그분들이 그러한 고통스러운 결정을 내리게 된 근본적인 원인을 함께 논의하고 공론화해주셨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자살은 '너'의 문제가 아닌, '우리 모두'의 문제"


    이날 '자살 위기극복 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위촉된 한지아 을지의대 교수는 "자살 예방을 위해 활발히 활동해 오신 유관단체 대표님과 정부 부처 관계자, 특위위원 여러분을 모시고 오늘 출범하는 특위를 이끌게 돼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문을 열었다.

    한 위원장은 "생명체의 본능은 살아남는 것인데, 이러한 본능에 반해 생명체가 스스로의 목숨을 본인의 의지로 끊는 것을 자살이라고 한다"며 "이렇게 본능에 반하는 행위를 우리나라 청년과 노인은 OECD 어느 나라보다도 많이 행하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우리 사회에서 자살은 세대를 뛰어 넘고, 젠더를 뛰어 넘고, 정치 진영마저 뛰어 넘어, 모두의 문제가 됐다"고 진단한 한 위원장은 "하지만 이렇게 만연해 있는 자살은 2023년 지금에도 개인의 일로 치부되고 있다"며 "이제는 '너'의 문제가 아니라 '나'의 문제이고, 또 '나'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문제라고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위원장은 "특위는 자살 위기극복을 위해 '실효성 있는', 또 '가까이 다가가는', 그리고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국가 자살예방정책을 구상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모두가 소중한, 자살없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여기 계신 모든 분들의 지혜를 모아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자살 예방 분야 전문가들로 '특위' 구성


    국민통합위원회는 이날 세계보건기구(WHO) 생애주기별 및 만성질환국 담당관을 역임했던 한지아 을지의대 교수를 필두로, 자살 예방 분야의 전문성과 현장 경험을 갖춘 각계를 대표하는 13인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살 위기극복 특별위원회'를 공식 출범시켰다.

    국민통합위는 자살 문제가 복합적인 이유로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해 정부 정책 및 제도적 한계점을 진단하고, 나아가 국민 인식 개선을 위한 메시지를 확산하기 위해 유관단체, 시민사회와 언론·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살 예방을 위해 활동하고 있는 다수의 전문가를 위원으로 위촉했다고 밝혔다.

    본격적인 특위 출범에 앞서 올해 초부터 6주간 준비 TF를 운영한 국민통합위는 '자살 위기극복 특별위원회'의 논의 방향을 '실효성 있는, 가까이 다가가는, 과학적 근거 중심'으로 잠정 도출했다.

    '자살감시동향체계' 도입 등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


    먼저 특위는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 기존에 추진 중인 정책·사업을 재점검할 수 있도록 평가·모니터링 체계를 점검하고, 현장에서의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전문인력 양성 및 활용 체계 제안, 자살감시동향체계 도입 등 포괄적인 제도 개선 사항들을 살펴볼 계획이다.

    이어 자살 예방 정책이 국민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지역사회 역할 강화를 위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지역 내 사업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방침이다.

    또한 사회적 연대 강화를 위한 중점 주제를 논의하고 대국민 메시지 확산에도 힘쓸 예정이다. 이를 위해 메시지의 효과적인 전달 방안과 국민통합위원회 차원의 역할을 강구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과학적 근거 중심으로 정책을 수립·추진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흩어져 있는 자살 관련 데이터를 수집·연계하고, 이를 통한 '정책 설계–모니터링–평가' 등 국가 자살통합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해법을 모색할 계획이다.
  • ▲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