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7월 4일 열린 '서울 안심소득 시범사업 출범식'. ⓒ연합뉴스
    ▲ 지난 7월 4일 열린 '서울 안심소득 시범사업 출범식'. ⓒ연합뉴스
    오세훈표 복지제도 '안심소득'에 대한 다양한 비판점이 제기됐다. 기존 복지제도인 기초생활보장제도를 안심소득이란 새로운 제도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근로소득공제 및 재산기준 등 다양한 지표에서 '완전한 다름'을 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서울시는 7일 오후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새로운 복지제도: 안심소득 토론회'를 개최하고 각계 전문가들과 현 보장제도의 문제점 및 현안을 논의하고 새로운 복지모델을 모색하기 위한 공론의 시간을 가졌다.

    "'안심소득' 새로운 제도 대채 이유 고민해야"

    이날 '미래를 열어가는 새로운 복지제도' 주제 토론을 맡은 이원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안심소득과 관련해 단순히 하후상박으로 지원하고 빈곤을 완화하자는 논의는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부분"이라며 "기존 복지제도를 정비하고 확대하는 방향으로 대응하는 것이 아닌, 왜 안심소득과 같이 완전히 새로운 제도로 대체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먼저 안심소득의 근로소득공제 수준이 기초생활보장제도 대비 훨씬 높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위원은 "안심소득이 기초생활보장제도에 비해 수급자의 근로의욕을 덜 저해하는 이유는 근로소득 50% 공제에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위원은 "사실 기초생활보장제도 역시 근로의욕 저해 관련 논의가 많이 있어 왔기에 (2020년부터) 근로소득 30% 공제를 하고 있고, 장애·학생·노인 등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더 확대된 공제도 하고 있다"며 "안심소득이 소득공제를 50%로 올린다 해서 완전히 바뀐 새로운 복지라고 하기엔 부족한 감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위원은 안심소득의 수급자 선정 재산기준 역시 훨씬 더 높이는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봤다. "재산기준이 사각지대를 가장 해소할 수 있는 기준으로 부각되고 있다"고 말한 이 위원은 "안심소득 논의에서 재산 기준을 확실히 어떻게 하겠다는 고민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는 것 같다"며 "형평성 문제와 관련해 급진적으론 아예 재산을 보지 않는다는 등 논의가 있으면 완전히 새로운 복지제도라는 데 더 설득력 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상대빈곤율 15%…국민 절반 지원 논거 생각해야"

    "기초보장제도 급여수준을 기존 중위소득 30% 기준보다 더 높이자는 논의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와 유사하거나 조금 더 높은 재산기준이라면 반드시 안심소득이라는 새로운 제도여야 하냐는 비판의 목소리에 답하긴 어려울 수 있을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이 위원은 안심소득이 국민 절반 정도를 지원한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현행 복지제도의 정비를 예로 들어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이 위원은 "기초생활보장제도는 국민 3~4%를 지원하는 꼴이라 복지사각지대가 생기게 된다"며 "그러나 안심소득과 관련해선, 상대빈곤율이 15%인데 국민 절반을 지원해야 하냐는 질문이 나올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현행 제도를 발전시키자는 입장에서는 기초보장제도를 전국민의 약 10% 보완하는 제도로 확대하고, 그밖의 사람들은 아동수당·실업수당·의료수당 등 다양한 위험에 대응하는 제도들로 보호하자는 게 복지국가의 전형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며 "최후 안전망을 50%로 설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더 활발히 논의해 우리나라 복지제도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날 토론회는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시민들이 까다로운 절차와 이해하기 어려운 기준 등으로 복지 혜택을 외면하는 일이 더 이상 없도록 하기 위해 '소득격차 및 사회적 위험'과 '미래를 열어가는 새로운 복지제도'라는 두 가지 주제로 토론을 진행했다. 

    첫 번째 발제를 맡은 김태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한국 사회의 경우 다양한 사연의 위기 계층이 산발적으로 존재하나 위기 상황에서 지원받을 수 있는 사회보장제도가 여전히 부족하다"고 말했다. 

    두 번째 발제를 맡은 김용민 국민대 교수는 "안심소득은 복지 사각지대를 거의 완전히 해소하며 하후상박 지원으로 소득격차 축소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상한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축사 인사말에서 "코로나19 등 팬데믹으로 소득 상실 위험이 높아지고 있어 현행 소득보장체계에 대한 정부 차원에서의 대안 모색이 필요하다"며 "이번 토론회가 서울시의 안심소득을 비롯한 소득보장체계 혁신방안 마련을 위한 논의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