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 비판·감시 사명 못했다"며 2개월간 660명 탈퇴… 참여연대 활동 '불만족' 비율도 급증
  • ▲ '조국 사태' 이후 참여연대의 행보에 실망한 회원들이 떠나가고 있다. 참여연대 회원 게시판에는 '후원 해지' '탈퇴 요청' 등의 게시물들이 쏟아지고 있다. ⓒ뉴시스
    ▲ '조국 사태' 이후 참여연대의 행보에 실망한 회원들이 떠나가고 있다. 참여연대 회원 게시판에는 '후원 해지' '탈퇴 요청' 등의 게시물들이 쏟아지고 있다. ⓒ뉴시스
    '조국사태' 이후 참여연대의 행보에 실망한 회원들이 무더기로 탈퇴했다. 참여연대 회원 게시판에는 '후원 해지' '탈퇴 요청' 등의 게시물이 쏟아진다. 문재인 정부 들어 '권력 감시와 견제'라는 참여연대의 사명이 무색해졌다는 게 회원들이 '줄탈퇴'를 선언하는 이유라고 한다.

    3일 참여연대에 따르면, 이 단체 회원은 지난해 12월 1만5362명에서 지난 2월 1만4867명으로 감소했다. 이 기간 탈퇴한 회원은 660명이고, 165명의 신규 회원이 들어왔다. 순수하게 감소한 인원은 495명이다.

    순수 탈회 회원 495명… 핵심인사 탈퇴도 잇달아

    참여연대 회원 전용 온라인 게시판 '활/기/차'에도 탈퇴요청 글이 쏟아졌다. 탈퇴요청 글은 2016~18년 매년 10건 안팎이었지만, 지난해에는 하반기에만 70여 건이 올라왔다. 지난해 8월에는 조국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법무장관에 임명돼 각종 논란이 확산하던 시기였다.

    탈퇴를 요청한 회원들은 "권력 비판·감시 본연의 길을 가라" "참여연대 지도부의 총사퇴를 요구한다" "참여연대 존재의 이유가 퇴색했다" 등의 사유을 밝히며 탈퇴를 원했다. 한 회원은 "당장 탈퇴하지는 않겠다"면서도 "참여연대 조직 자체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고 일침을 놓기도 했다.

    참여연대 핵심인사들의 잇따른 탈퇴도 일반회원들의 탈퇴에 영향을 끼쳤다. 김경율 전 공동집행위원장은 지난해 9월 말 공개적으로 탈퇴 의사를 밝히며 "조국은 적폐청산 컨트롤타워인 민정수석의 자리에서 시원하게 말아드셨다"며 페이스북에 게시글을 올렸다.

    이와 관련해 참여연대가 김 전 위원장을 징계하려 하자 이번에는 조혜경 실행위원이 공개적으로 참여연대를 비판했다. 조 위원은 참여연대 회원 게시판에 "뭐가 됐든 '조국사태'를 통해 참여연대는 25년 역사에 씻기 어려운 오점을 남겼다"며 "참여연대가 관변 시민단체로 전락했다는 오명을 자초했다"고 비판했다.

    김 전 위원장과 조 전 위원의 참여연대 비판 이후 이들을 지지한다며 탈퇴 의사를 밝힌 회원도 상당수다.

    이와 관련, 참여연대 측은 "탈퇴한 660명 중에 530여 명은 2년 이상 회비를 미납한 회원들"이라며 "이들에게 회원 유지 의사를 물어보고 탈퇴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참여연대 탈퇴 회원보다 가입 회원이 156명 더 많다"며 "지난해 1만5362명에서 올해 2월 1만4867명으로 줄어든 것은 단순히 2년 이상 회비를 납부하지 않은 회원들을 정리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회원감소 탓 재정난 예상… 참여연대 불만족 응답 2배 이상 늘어

    회원들의 '연쇄 탈퇴'로 인한 재정난도 예상된다. 참여연대에 따르면, 2019년 이 단체의 전체 수입 중 정기 회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77%다. 회원 감소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참여연대 운영이 힘들어질 수도 있다는 의미다.

    참여연대 내부 설문조사에서도 침체한 분위기가 확인됐다. 지난달 3일부터 11일까지 회원 47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참여연대 활동이 활발하냐'는 질문에 '그렇다'는 응답이 29.4%로 나타났다. 2018년 60.5%였던 응답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회원 8.1%는 참여연대 활동 전반에 '불만족'한다고도 답했다. 2년 전 같은 조사의 불만족 응답은 3.5%로, 2배 이상 늘었다. 불만족 이유는 '정부의 잘못된 정책에 대한 비판 미흡' '내부 의견 불일치로 인한 불협' 등이었다.

    한편 참여연대는 국내 최대규모 시민단체다. 1994년 9월10일 '참여와 인권이 보장되는 민주사회 건설'을 목표로 '참여민주사회와 인권을 위한 시민연대'라는 명칭으로 창립됐다. '세상을 바꾸는 힘'이라는 슬로건으로, 권력 감시와 견제를 활동 원칙으로 삼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