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교육청, 1일 '수능 이후 결과 발표' 입장문… 교육계 “교사 징계 없이 학교 측 입장만 대변”
  • ▲ 서울시교육청이 교사의 정치편향 교육으로 논란이 불거진 인헌고등학교에 대한 특별장학 결과를 14일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후 발표하겠다고 1일 밝혔다. ⓒ뉴데일리DB
    ▲ 서울시교육청이 교사의 정치편향 교육으로 논란이 불거진 인헌고등학교에 대한 특별장학 결과를 14일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후 발표하겠다고 1일 밝혔다. ⓒ뉴데일리DB
    서울시교육청이 '정치편향' 교육으로 논란이 불거진 인헌고등학교의 특별장학 결과를 오는 14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이후 발표하기로 했다. 인헌고 교사와 교장 징계를 요구한 시민청원도 답변도 마찬가지 입장이다. "모든 행위를 잠정 중단해달라"는 인헌고 측의 요청을 적극 수용한 것이다.

    교육계 일각에선 시교육청이 사태 수습과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내놓기는커녕, 좌파 성향 '정치교사'들의 편향적 교육을 한 학교 측을 대변하는 행태를 보였다며 거세게 비난하고 있다.

    특별장학 결과 수능 이후 발표… 인헌고 입장 수용한 시교육청

    1일 시교육청은 최근 '인헌고 사태'와 관련, 입장문을 내고 "인헌고가 토론회를 열고 학교운영위원회 논의를 통해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며 "수능을 앞둔 상황에서 안정적 교육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언론 매체와 교육청, 시민단체가 모든 행위를 잠정 중단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했다.

    이어 "인헌고의 안정적 학교 교육활동을 위한 노력을 존중하는 가운데 장학활동을 진행할 것"이라며 "언론과 사회단체에서도 인헌고의 요구를 고려해 적극 협조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시교육청은 또 조사결과 인헌고 학생 20여 명이 교사로부터 편향적 정치 사상을 강요받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시교육청은 인헌고 학생을 대상으로 전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선언문 띠 제작 활동 시 본인의 생각과 다르게 제작하도록 교사의 강요를 받았나요?’등의 질문에 반별 1~2명 정도가 “예”라고 답했다고 했다.

    앞서 인헌고의 일부 학생들은 지난달 23일 기자회견을 열고 일부 교사로부터 반일 사상 등 편향된 정치교육을 받았다는 사실을 폭로했다. 논란이 커지자 교육청은 같은 날 사실 확인 등을 위한 특별장학을 실시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수능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조사를 이어가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내용을 더 엄밀하고 공정하게 분석·해석하기 위해 추가 조사와 심층 면담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수능 이후 해당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 절차를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치교사 논란 지속되고, 시민청원 1만명 넘었는데… "조희연, '전교조 앵무새'"

    그러나 시교육청의 이러한 행태에 대해 교육계는 거세게 비판했다. 시교육청이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보다 학교 측 입장 대변에 더 적극적이라는 지적이다.

    교육계의 한 관계자는 "교육청이 정치편향 교육을 펼친 교사를 벌하거나 이후 대책은 제대로 세우지 않은 채 거듭 정치교사 논란이 일고 있는 학교 측 주장만 대변하고 있는 모양새"라고 비난했다.

    또 다른 교육계의 한 관계자는 "인헌고 내 전교조 출신의 정치 교사들이 여전히 학생들을 선동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기자회견을 한 학생들에 대항해 다른 학생조직을 만드는 데도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들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교내에서 정치활동이 버젓이 발생하는데도 손놓고 있는 조희연 교육감은 '전교조 앵무새'로 전락한 셈"이라며 "학생보다 전교조를 우선시하는 행태가 우려스럽다"고 비판했다.

    한편 지난달 22일 서울시교육청 청원게시판에 올라온 인헌고 교사·교장 징계요구 청원은 일주일 사이에 1만명을 돌파했다. 시민 1만명 이상이 동의한 청원에 답변하는 제도를 운용 중인 시교육청은 30일내 해당 청원에 대한 답변을 내놓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