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모든 교류 정상회복 합의하면서도 "한반도 정세는 관건적 시기에 있다"…의미심장한 발언
  •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11일 베트남 다낭에서 진행된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통해 한중관계 복원 정상화를 공식화했다.
    뉴시스에 따르면 이날 시 주석은 "문 대통령을 다시 만나 아주 기쁘다"며 "오늘 회동은 앞으로 양국관계 발전과 한반도 문제에 있어서 양측의 협력과 리더쉽 발휘에서 중대한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고 입을 열었다.
    그러자 문 대통령은 "한국 속담 중 '비 온 뒤 땅이 굳는다'는 속담이 있다"면서 "중국에도 '매경한고'라고 '봄을 알리는 매화는 겨울 추위를 이겨낸다'는 사자성어가 있다"고 화답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한중관계가 일시적으로 어려웠지만, 한편으로는 서로의 소중함을 재확인하는 시간이었다"면서 "한중 간 잃어버린 시간을 만회할 수 있게 양측이 함께 노력하길 바란다"고 화답했다.
    두 정상은 이날 별도의 합의문은 내놓지 않았으나, 브리핑 형태로 관계개선의 핵심요소에 대한 합의사항을 공개했다.
  • 이번 합의에서 주목할 점은 문 대통령의 12월 베이징 방문에 양국 정상의 합의했다는 것이다. 
    양국 정상간의 교류로 그간 꼬여있던 한중 관계의 물꼬를 트이는 계가기 될 것으로 보인다.
    두 정상은 당초 사드 문제를 의제로 삼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과 달리 사드 문제에 대해 서로의 기본적 입장을 확인하고 모든 분야에서의 교류협력을 조속히 회복시키자는 데 뜻을 모았다.
    다만 이날 시진핑은 "한·중 관계와 한반도 정세는 관건적 시기에 있다"고 말하면서 원론적 수준의 발언을 통해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해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유보적 입장을 우회적으로 드러냈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선 한·중 정상회담이 사드(THAAD) 갈등을 봉합하는 조건으로 성사되긴 했지만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음을 시 주석의 발언에서 엿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시 주석이 한국 정부가 취한 3불 정책(미사일방어체계 편입, 사드 추가 배치 검토, 한미일 군사 동맹 불가)등의 진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간을 갖고 지켜보겠다는 의미로도 해석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중 관계개선에 대한 본격적인 신호탄은 문 대통령의 다음달로 예정된 방중 기간 이뤄지는 세 번 째 한·중 정상회담에서 진행될 가능성이 조심스레 점쳐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