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9명 무고한 시민 사망' 파리 대참사 잊은 야당, 24만여명 증발하는데도
  • ▲ 2015년 11월 14일 프랑스 연쇄테러가 벌어지기 직전 바타클랑 극장의 모습. ⓒYTN 방송화면
    ▲ 2015년 11월 14일 프랑스 연쇄테러가 벌어지기 직전 바타클랑 극장의 모습. ⓒYTN 방송화면

     

    <그날 밤의 악몽이 서울 한복판에서 재현될 경우>

    #. 2015년 11월 14일, 프랑스 파리(Paris) 바타클랑 극장

    미국의 록밴드 '이글스 오브 데스메탈(EODM)'의 강렬한 사운드에 공연장이 들썩이던 순간, "탕탕탕탕" 무대 한켠에서 연쇄폭발이 일어난 듯한 굉음이 터져나온다.

    드럼을 연주하고 있던 줄리안 도리오는 곧바로 몸을 숙였지만, 기타를 연주하던 다른 밴드 멤버들은 자리에서 그대로 굳어버렸다.

    메탈 사운드에 심취해 있던 일부 관객들은 총성 소리를 공연의 일부라고 착각하고 있었다.

    이후 1,500여명이 모여있던 극장은 아비규환(阿鼻叫喚)의 현장으로 변해버렸다.

    테러범 3명이 관객들을 향해 총을 난사하자 순식간에 89명이 목숨을 잃었다.

    "저는 살기 위해 1시간 동안 죽은 척했습니다. 숨을 참은 채 움직이지 않으려고, 울지 않으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동안 테러리스트들은 극장 안을 돌아다니며 확인 사살을 했습니다." (생존자 증언)

    관객들이 총격을 피해 달아나며 극장 복도와 계단에 흘린 핏자국은 테러 당시의 끔찍한 상황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 ▲ ⓒSBS 카드뉴스 캡처
    ▲ ⓒSBS 카드뉴스 캡처

     

    #. 파리 북부, 스타드 드 프랑스(Stade de France) 경기장

    비슷한 시각, 테러는 프랑스와 독일 간 A매치 친선전이 열린 경기장 주변에서도 일어났다.

    8만명이 운집한 경기장, 전반 16분.

    "쾅쾅쾅" 세 차례 큰 폭발음이 들리고, 놀란 선수들이 주변을 둘러보며 주춤한다.

    폭발이 일어난 곳은 경기장 외곽의 J 출입구였다.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황급히 경호를 받으며 대피했고 주최 측은 관중을 경기장 밖으로 대피시킬 경우 또 다른 위험에 노출될 것을 우려해 경기를 끝까지 진행했다.

    당시 레퀴프 등 프랑스 언론은 경찰의 말을 인용해 "게이트 밖에서 폭발물이 터지면서 경기장을 찾은 3명의 관중이 숨졌고,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겁에 질린 관중들은 경기가 끝난 후에도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경기장 그라운드로 내려와 사태가 진정되길 기다렸다. 1시간 30분이 지나서야 경찰의 호위속에 경기장을 빠져나갔다.

     

  • ▲ 영국 데일리메일이 공개한 레스토랑 테러현장. ⓒYTN 방송화면
    ▲ 영국 데일리메일이 공개한 레스토랑 테러현장. ⓒYTN 방송화면

     

    #. 파리 연쇄테러, 생지옥 같았던 주변의 레스토랑

    파리 연쇄테러 당시, 파리 시내의 한 레스토랑에 총탄이 날아들고 종업원과 손님들이 가까스로 총격을 피하는 긴박한 순간의 영상이 영국 데일리메일(Daily Mail)을 통해 공개됐다.

    테러가 발생한 13일(금요일) 밤, 파리 11구에 있는 식당의 CCTV 화면.

    총격으로 유리가 깨지자 바닥으로 엎드리거나, 카운터 뒤로 숨는 손님부터 손님들을 지하로 대피시키는 주인의 모습까지 담겨 있어 보는 이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이 영상에는 테라스에서 식사하다가 땅에 엎드린 여성을 발견한 테러범이 머리에 AK-47 소총을 겨누었으나, 총알이 나오지 않아 극적으로 살아난 충격적인 모습도 보인다.

    놀란 시민들이 황급히 몸을 피하는 사이, 식당 밖에서 테러범의 총을 맞을 뻔한 사람들이 가까스로 식당 안으로 총격을 피해 들어오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당 주변을 맴돌던 테러범이 총을 겨누고 식당 출입문 앞까지 다가서는 공포스러운 상황도 담겨 있다. 다행히 식당 안 사람들을 발견하지 못했는지 테러범은 잠시 서성이다 돌아섰다.

    세계 2차대전 이후 프랑스 최악의 테러사건이라고 여겨지는 파리 연쇄테러 때문에 129명의 무고한 시민이 죽고 약 100명이 심각한 다쳤다.

     

    ◆ '좌파의 나라' 프랑스, 테러방지법 강화

    이른바 진보라고 불리는 올랑드 대통령이 이끄는 프랑스.

    프랑스 정부는 파리 연쇄테러 이후, 테러방지법(反테러법)을 강제하고 나섰다.

    프랑스는 지난 2014년 11월, 테러리즘을 찬양하거나 부추기는 이들을 처벌하기 위해 만든 조항을 징역 5년 또는 벌금 7만5,000유로(약 9,300만원)로 상향한 바 있다.

    프랑스 정부는 이에 그치지 않고 테러방지법을 한층 강화했다. 심지어는 술에 취해 올린 글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법을 집행하고 있다.

    프랑스 하원은 최근 국가비상사태를 3개월 더 늘려 5월 26일까지 연장하는 안건을 찬성 212 대 반대 31로 통과시키기도 했다.

    경찰이 법원의 영장 없이도 위험인물의 집을 수색하거나 가택 연금할 수 있게 했고, 집회와 시위는 전면 금지됐다. 프랑스는 이중국적을 가진 자가 테러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으면 프랑스 국적을 박탈하는 내용을 담은 개헌안도 추진하고 있다.

    '좌파의 나라' 개인의 인권을 무엇보다 중시 여기던 프랑스가 대참사를 겪은 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바뀌고 있는 것이다. 

     

    ◆ "한국 코엑스 폭파하겠다" 안사르 알-딘, 협박 

    테러 위협, 한국도 예외일 수 없었다.

    지난해 10월 23일, 외교부는 아프리카 현지 공관으로부터 "이슬람 테러조직이 한국의 코엑스를 폭파하려 한다"는 정보를 입수했다.

    테러조직의 SNS 계정에 올라온 내용을 확인한 외교부는 이 사실을 즉각 국가정보원에 알렸고, 상황은 경찰에도 전파됐다.

    경찰은 기동대 2개 중대와 특공대 등을 서울 삼성동 코엑스로 보내 경비를 강화하고, 폭발물 수색에 들어갔다. 해당 소식은 이튿날 오후에야 언론에 공개됐다.

    언론은 코엑스를 폭파하겠다고 협박한 조직이 테러조직 ISIS 연계 조직이라고 전했다. 정부에서 밝힌 테러조직의 이름은 '안사르 알-딘(Ansar al-Din, أنصار الدين‎)'이다.

    '안사르 알-딘'은 서아프리카에 있는 말리 공화국과 인근 지역에서 활동하는 이슬람 수니파 극단주의(살라피즘) 테러조직이다. 조직원은 최소 500명에서 최대 2,000명으로 추정된다.

    2012년 중반 알 카에다 이슬라믹 마그렙 지부와 결별한 '안사르 알-딘'은 2014년에는 테러조직 ISIS(자칭 이슬람 국가)을 추종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 ▲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조선일보 DB
    ▲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조선일보 DB

     

    ◆ 파리 폭탄테러보다 더한 핵(核)테러 일어나면 

    서울 여의도에서 10kt 규모 핵 테러가 발생할 경우 사망 24만여명, 경제적 손실 1,575조원, 방사능 오염 면적 2,788km² 등 막대한 피해가 발생해 국가 위기사태가 도래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월간조선>이 2013년 7월 외교통상부(현 외교부)의 용역보고서를 확인한 결과, 핵(核), 생물, 화학 무기 등의 비대칭 전력을 보유하고 있는 북한이 이를 대남 테러에 이용한다면 우리는 회복 불가능한 피해를 입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방사성 물질을 폭약과 함께 폭발시키는 방사능 확산 폭탄(RDD·Radioactive Dispersion Device), 핵 분열성 물질로 제조한 조잡한 핵무기를 폭발하는 급조형 핵 장치(Improvised Nuclear Device·IND)를 이용한 테러의 피해 규모를 예측했다.

    RDD에 쓰이는 세슘-137의 방사능 규모를 100TBq(테라 베크렐, 1TBq=1조Bq), 테러 발생 장소를 서울 여의도 증권거래소 부근으로 설정했을 때 직접 피해 규모는 국내총생산(GDP)의 4%에 해당하는 총 40조1,381억원으로 평가됐다. 테러 발생 이후 4분기 동안의 간접 피해액도 총 61조7,523억원이다.

    급조형 핵장치(IND)를 이용한 테러는 RDD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막대한 타격을 준다.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여의도 증권거래소 부근에서 10kt 규모의 핵 물질이 폭발하면 반경 270m 이내에 있는 사람들은 주변 건물과 함께 증발한다. 이때 사망하는 사람이 4,604명이다.

    그리고 전리 방사선에 의한 사망자 9만6,533명, 방사성 물질의 대기확산에 따른 사망자 15만9,587명이 발생한다. 이 중 사망원인 간 중첩되는 인원을 제하면 총 24만1,640명이 사망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 ▲ 親盧 세력의 좌장인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중앙)와 첫 필리버스터 주자인 김광진 의원(좌측). ⓒ뉴데일리
    ▲ 親盧 세력의 좌장인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중앙)와 첫 필리버스터 주자인 김광진 의원(좌측). ⓒ뉴데일리

     

    ◆ 테러방지법 막아선 더민주, '대참사? 아몰랑'

    한국에서 테러방지법을 처음 추진한 것은 2001년 DJ 정권이었다.

    2001년 11월 28일, 당시 김대중 정부는 9.11 테러 사건 이후 테러방지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김대중 정부가 준비한 테러방지법은 현재 정의화 국회의원이 국회법 제 85조 1항에 따라 직권상정한 법안인 '국민 보호와 공공 안전을 위한 테러방지 법안'과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다.

    테러방지법 추진은 노무현 정권에서도 이어졌다. 2003년 노무현 전 대통령은 당선 이후 곧바로 테러방지법 입법을 시도했다. 2003년 11월 14일 국회 정보위원회는 정부가 제출한 테러방지법 일부를 수정한 위원회 대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에서 초당적 협력을 하면서 법안이 통과된 것이다.

    하지만 12년이 지난 지금도 국회 본회의 문턱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ISIS의 테러와 북한의 핵(核) 위협에 국가 안보가 비상에 직면해 있는데도, 더불어민주당은 필리버스터(합법적 의사진행 방해)를 내세우며 반대를 위한 반대에 골몰하고 있다.

    심지어 '필리버스터를 반대하고, 테러방지법에 찬성한다'는 여론이 거세지자 더불어민주당은 슬며시 발을 빼려하고 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26일 "정의화 국회의장이 국민의 큰 피해가 예상되는 감청 관련 부칙 조항에 대해 중재안을 제시했는데 우리는 그것이라도 받겠다"고 했다.

    앞서 정의화 의장은 중재안을 내놓으며 국가정보원이 통신제한조치(감청)를 할 수 있는 사유와 관련, '테러방지를 위해'라고 돼 있던 새누리당 법안을 '국가안전보장의 우려가 있는 경우 테러방지를 위해'로 수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종의 더불어민주당식 출구전략이었다. 테러방지법을 막지 않더라도 국민의 관심을 환기시키고 지지층을 결집하는 등 여론전에서 효과를 톡톡히 봤다는 당내 평가가 나오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총선을 앞두고 벌인 계책(計策)이 일정 부분 먹혀들었다고 본 셈이다.

    국민의 안전은 뒷전이다. 그간 수차례에 걸쳐 평양-전체주의 추종 세력과 손을 잡아 온 친북(親北) 더불어민주당이다. '테러방지를 위해'라고 돼 있던 내용에 '국가안전보장의 우려가 있는 경우'라는 문구가 덧붙었을 뿐이다. 국가정보원의 감청을 막겠다는 이유다. 당장 닥친 테러 위협보다 국가정보원이 무섭다는 야당. 국민의 생명, 목숨보다 자신들의 정보보호가 소중하다는 더불어민주당의 행태를 아무리 생각해도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