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보도문 아전인수식 해석, 대표단 국적 어딘지 궁금”
  • ▲ 지난 22일, 경기 연천군 중면 대피소에서 주민들이 북한 도발 관련 뉴스를 보고 있다. ⓒ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 지난 22일, 경기 연천군 중면 대피소에서 주민들이 북한 도발 관련 뉴스를 보고 있다. ⓒ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남북 고위급회담 협상 타결과 관련돼 시민단체의 논평과 성명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자유민주연구원(원장 유동열)이 "이번 남북 합의는 북한의 반문명적 범죄행위에 우리 정부가 면죄부를 준 것과 같다"며 공동보도문 폐기를 강하게 촉구하고 나섰다.

    나아가 자유민주연구원은 북한으로부터 제대로 된 사과를 받지 못한 김관진 청와대 안보실장과 홍용표 통일부장관을 해임하고, 공동보도문과 그에 따른 합의내용을 파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유민주연구원은 25일 성명서를 통해, "남북고위급접촉 '공동보도문'은 대한민국의 헌법정신과 가치를 훼손하고 우롱하는 것으로 폐기돼야 한다"고 비판했다.

    자유민주연구원은 "남북고위접촉의 핵심 사안은 북한의 반문명적인 범죄행위에 대한 사과와 책임자 처벌, 손해배상과 보상, 재발방지였지만, 공동보도문 어디에도 지뢰 및 포격도발에 대한 사과는 없었다"며, "현 사태를 어물쩍 넘기며 봉합하려는 작태는 국민들이 보여준 체제수호 의지와 희생 및 헌신에 대한 배신"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자유민주연구원은 남북 고위급회담 협상 타결을 "북한에 반문명적 범죄행위에 면죄부를 주는 반(反)대한민국적 합의"라고 정의하면서, ▲김관진 안보실장과 통일부장관 해임 ▲공동보도문 및 합의사항 파기 ▲북한의 명백한 사과·책임자 처벌·손해배상과 보상·재발방지 조치가 이뤄지기 전까지 대북확성기 방송과 대북심리전 강화 등의 조치를 촉구했다.

  • ▲ 유동열 자유민주연구원 원장. ⓒ뉴데일리DB
    ▲ 유동열 자유민주연구원 원장. ⓒ뉴데일리DB

    자유민주연구원은 아울러 공동보도문 중 제2항에 해당하는 "북측은 최근 군사분계선 비무장지대 남측지역에서 발생한 지뢰 폭발로 남측 군인들이 부상을 당한 것에 대하여 유감을 표명하였다"는 항목은 진정한 사과로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자유민주연구원은 "(공동보도문 제2항은) 도발주체와 사과 등이 전혀 표명되지 않는 중립적 표현"이라며, "아전인수격으로 해석하는 고위급접촉 대표단은 국적이 어디인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다음은 자유민주연구원의 성명서 전문.


    북한의 반문명적 범죄행위에 면죄부를 준 공동보도문을 폐기하라!

    2015년 8월 25일 2시에 발표한 남북고위급접촉 ‘공동보도문’은 대한민국의 헌법정신과 가치를 훼손하고 우롱하는 것으로 폐기되어야 한다.

    이번 남북고위접촉의 핵심적 사안은 북한의 반문명적인 목함지뢰도발과 포격도발이라는 범죄행위에 대한 사과, 책임자 처벌, 손해배상과 보상, 재발방지였으나, (책임자 처벌, 손해배상과 보상, 재발방지는 커녕) 그 어디에도 지뢰도발사건과 포격도발에 대한 사과는 전혀 없었다.

    공동보도문 제2항에서 “북측은 최근 군사분계선 비무장지대 남측지역에서 발생한 지뢰 폭발로 남측 군인들이 부상을 당한 것에 대하여 유감을 표명하였다.”라고 한 대목을 사과했다고 아전인수격으로 해석하는 고위급접촉 대표단은 국적이 어디인가? 당신들은 국어도 모르는가?('북측'을 '중국정부' 이나 '미국정부' 등으로 바꾸어 보면, 도발주체와 사과 등이 전혀 표명되지 않는 중립적 표현임을 알수 있다)

    이런 식으로 현사태를 어물쩍 넘기며 봉합하려는 작태는 이번사태에 즈음하여 국민들이 보여준 체제수호 의지와 희생 및 헌신에 대한 배신이며 북한의 반문명적 범죄행위에 면죄부를 주는 반(反)대한민국적 합의이다.

    정부당국은 신속하게 아래 조치를 취해야 한다.

    1.김관진 안보실장과 통일부장관을 당장 해임시켜야 한다.

    2. 공동보도문과 합의를 당장 파기해야 한다

    3. 향후 북한의 명백한 사과, 책임자 처벌, 손해배상 및 보상, 재발방지 조치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대북확성기 방송과 대북심리전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2015. 8.25.
    자유민주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