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정硏 분석…`복지ㆍ형평성'은 용산구가 최저
  •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경제적 활력성'이 가장 낮은 지역은 동북권이고, `복지 및 형평성'은 용산구가 최저 수준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9일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발표한 `지표로 본 서울의 지역특성과 발전방향' 정책보고서에 따르면 `경제적 활력성'은 노원ㆍ도봉ㆍ강북ㆍ성북ㆍ중랑구 등 동북권 지역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반면 서울의 3대 중심거점을 형성하는 중구ㆍ종로구, 강남ㆍ서초ㆍ송파구, 영등포구 등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경제적 활력'은 각 자치구의 고용밀도, 건축허가 실적, 재정자립도 등을 고려해 평가했다.

    또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율, 공공임대주택비율, 사회복지시설 수용인원, 공공도서관 접근도 등 취약계층ㆍ지역에 대한 전반적인 배려를 평가하는 `복지 및 형평성' 영역에서는 용산구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공공도서관 접근도가 만점에 가까운 강동구와 중구, 사회복지시설 수용인원이 압도적으로 높은 은평구, 전반적으로 고르게 높은 점수를 얻은 종로구와 강남구 등은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다.

    5대 강력범죄 발생률, 교통사고 발생건수, 화재발생건수, 침수피해액 등 지표를 분석해 평가하는 `안전성' 영역에서는 중구와 광진구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고 중랑, 강북, 금천, 서대문, 관악구 등도 하위 수준이었다.

    강력범죄 발생률은 유흥업소가 많은 자치구일 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교통사고 중 `차 대 사람' 사고가 빈번한 지역은 도심과 부도심 등 거점의 간선도로축을 따라 분포했다.

    `편리성' 영역에서는 중구와 종로구 등 중심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쾌적성'은 양천, 도봉, 강동구 등 외곽지역이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다른 자치구와 큰 차이는 없었다.

    한편 시민 1천명을 대상으로 `성과영역별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약 3분의 1인 32.8%가 `경제적 활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고, 이어 '복지 및 형평성'(21.0%), '안전성'(19.2%), '편리성'(14.3%), '쾌적성'(12.7%) 순이었다.

    연구원은 "인구 천만의 대도시인 서울이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지역간 균형발전이 매우 중요하다"며 "지역적 특성에 따라 유형을 나눠 차별화한 발전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