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대 딸을 둔 부모 10명 중 6명이 딸이 혼전 임신했을 경우, 인공임신중절(낙태)을 시키겠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손숙미 한나라당 의원이 '미혼모와 그들 부모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61.9%의 부모는 "남(여)자 친구의 부모와 상의 후 또는 상의 없이 '딸이 임신했을 경우 낙태시키겠다'"고 답변했다고 26일 밝혔다.

    10대 아들을 둔 부모도 59.7%가 이같은 선택을 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밖에 20대 딸의 혼전 임신시에는 25.2%, 20대 아들의 경우에는 17.6%가 낙태를 시키겠다고 밝혔다.

    반면, 10대 딸을 둔 부모 21.4%와 10대 아들을 둔 부모 23.4%는 '두 자녀를 결혼시켜 부모 밑에서 아이를 양육하겠다'고 응답했다. 이밖에  '출산 후 남(여)자친구 집에서 키우도록 한다(1.7%)', '입양기관을 통해 다른 가정에 입양시킬 것(2.1%)'이라고 했으며, '아이를 자신의 자녀로 입적시킨다(1.3%)'는 응답도 나왔다.

    또, 미혼모시설에 입소한 미혼모 중 양육을 원하는 여성은 2005년 20.6%에서 2008년 32.6%로 늘었다. 복지부 '연도별 미혼모시설 운영현황'에 따르면, 30세 이상 미혼모가 2005년 183명에서 644명으로 352% 급증했으며 13세 미혼모도 같은기간 2명에서 9명으로 증가했다.

    미혼모가 출산을 선택한 이유는 '낙태시기를 놓쳐서'(36.8%)가 가장 많았다. 그 외 '아기를 원해서'(27.4%), '낙태가 두려워서(15.2%)','낙태가 죄악이기 때문'(8.0%)이 있었다.

    손 의원은 "정부는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불법낙태 행위는 철저하게 단속하고, 미혼모는 애초에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교육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며 "미혼모가 됐을 경우 이들에게 입양이 아닌 양육이 가능하도록 국가차원의 전향적인 지원대책이 수립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