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일 "국회의장은 안정적인 부분 있어야""추미애는 위험한 정치인 트라우마 있어""이번 경선에서 당원 뜻 묵살된 것 아냐""당원 노여움 풀길"
  • ▲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충북 청주 상당) 당선인
ⓒ뉴시스
    ▲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충북 청주 상당) 당선인 ⓒ뉴시스
    이강일 더불어민주당(충북 청주 상당) 당선인이 국회의장 후보 선출 과정에서 '명심'(이재명 대표의 의중)으로 꼽힌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아닌 우원식 의원을 뽑았다고 밝혔다. 이는 3선에 성공한 김성환 의원에 이은 두 번째 '투표 커밍아웃'이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의원은 전날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국회의장 선출 과정에 대한 소회를 밝혔다.

    그는 "(국회의장 후보 선출은) 양심에 따른 결정"이라며 국회의장은 국가권력 2위로 당 대표보다 더 큰 힘을 갖게 된다. 그래서 안정적인 부분이 있어야 한다고 봤다"고 했다.

    이 당선인은 "안정적이라는 건 이변으로 판을 흔드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 뜻"이라며 "배신이나 해당 행위, 개인의 영달이나 정치적 욕심 때문에 누군가를 공격하고 동지들에게 아픔을 준 이력의 정치인이 결정 권한을 가진 자리에 오르면 굉장히 어려운 일이 생길 수 있다고 봤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당원들은 추 당선인을 '탄핵에 앞장선 인물'로만 알고 있다. 그 전 이력은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며 "열린우리당 창당 비판,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주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날치기 사건, 박근혜 영수 회담 사건, 문재인 정부 시절의 비화 공개 등 내게는 너무 위험한 정치인으로 큰 트라우마가 있다"고 우원식 의원을 선택한 이유를 설명했다.

    그럼에도 당원들이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의 선출을 기대한 것을 두고는 "당원들이 후보로 나선 이들의 이력을 스크린하고 비교 우위를 판단했다면 좋았을 텐데, 내가 보기에는 그런 과정이 부족했고 특정 인물에 대한 강한 지지만 있었다"고 했다.

    반면 을지로위원회 초대 위원장이자 의장 후보로 선출된 우 의원에 대해서는 "독립운동가의 후손이자 우리 당 의원 중 을의 현장에서 그들의 손을 가장 많이 잡아준 인물"이라며 "우리 당의 역사 그 자체"라고 평가했다. 

    이 당선인은 "물론 집단지성 자체는 굉장히 진보적인 형태다. 옳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해 내는 경우가 많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며 "앞으로도 당원들이 집단지성을 만들 때 완급을 조절하면서 정말 옳은가를 질문하고 답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당원들의 뜻을 거스른 데 대해선 죄송한 마음이라고 밝혔다.

    이 당선인은 2만 명 이상 당원들의 '탈당 러시'에 대해서는 "원인은 지난 총선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본다"고 분석했다.

    그는 "지난해 있었던 이재명 대표의 '체포동의안 가결' 사건 이후 (당원들은) 국회의원 후보가 대거 바뀌면서 '우리 의견이 반영됐다'는 자부심을 갖게 됐을 것"이라며 "이번 국회의장 후보 선출 과정에서 체포동의안 사건을 떠올렸을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번 경선에서 당원들의 의견이 묵살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우원식-추미애 후보의 경선) 결과가 엇비슷하게 나왔다"며 "당원들의 뜻이 현직 의원과 당선자들에게 투영되지 않았다면 (두 후보 표 차에) 아주 큰 차이가 났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아울러 그는 탈당을 고민하는 당원들에게 "여러분의 의견은 충분히 반영되고 있다"며 "조금 덜 반영되는 부분은 제도적으로 완비해 나갈 수 있도록 할 테니 노여움을 풀어 달라"고 호소했다.

    이 대표 지지자들은 이 당선인을 두고 오만하다는 지적을 이어가고 있다.

    24일 민주당 당원 게시판 '블루 웨이브'에서 한 누리꾼은 "(이 당선인이) 과거의 사적 인식에 집착하고 현재의 정치·사회 환경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이외에도 '당원에 대한 고마움은커녕 (당원을) 선거 도구로만 보는 것 같다', '썩은 수박 뽑아내고 새로 심은 게 독초, 독버섯이었다'는 반응이 줄을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