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스텔스 전투기·이지스함 탑재 유도탄 추가 확보… 방사청, 7조원 투입

제150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서 7조원 규모 5개 안건 심의·의결

입력 2023-03-13 18:05 수정 2023-03-13 18:05

▲ 한국 공군 스텔스 전투기 F-35A '프리덤 나이트(Freedom Knight)'가 지난달 3일 오후 한미 연합공중훈련을 위해 청주기지 활주로에서 이륙하고 있다. ⓒ공군

방위사업청이 약 7조원을 들여 5세대 스텔스 전투기 F-35A 추가 확보 및 이지스함 탑재 유도탄 구입 등을 추진한다.

13일 방사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에 개최된 제150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F-X 2차 구매계획(안) △전술지대지유도무기-Ⅱ 체계개발기본계획(안) △함대공유도탄-Ⅱ 체계개발기본계획(안) 등 5개 안건이 통과됐다. 총 예산규모는 7조3100억원이다.

우선 방사청은 오는 2028년까지 3조7500억원을 들여 스텔스 전투기 F-35A를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으로 추가 확보하기로 했다. FMS는 미국이 동맹국에 무기를 판매할 때 미 정부가 보증을 서는 방식이다. 한국형 3축 체계 중 'Kill Chain'의 핵심 전력으로 꼽히는 만큼, F-35A의 보강으로 북한의 핵·미사일을 보다 강력하게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여대를 추가 확보해 최종적으로 우리 군이 보유하게 될 F-35A는 60여 대 수준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날 승인된 전술지대지유도무기-Ⅱ 사업은 오는 2032년까지 1조5500억원을 투입해 원거리 적 주요 표적을 정밀타격하기 위한 차량탑재형 유도무기를 국방과학연구원 주관으로 확보하는 사업이다. 이날 방추위에서 사업추진기본전략 수정(안) 및 체계개발기본계획(안)이 의결되면서 적 위협에 대한 타격능력 향상이 예상된다.

오는 2031년까지 이지스함(KDX-Ⅲ)에 탑재하는 SM-6 유도탄을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으로 확보하는 장거리함대공유도탄 사업도 진행된다. SM-6는 미 해군이 운용하는 함대공 유도미사일로, 사거리는 240~460km 수준이다. 우리 해군이 운용 중인 SM-2 사거리(170km)보다 최대 3배 이상 길다. 

사업 추진으로 적 항공기 및 순항유도탄, 탄도탄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방사청은 KDX-Ⅲ Batch-Ⅱ 함정의 전력화 시기에 맞춰 SM-6 유도탄을 획득할 계획이다. 2차 구매까지 총 사업비는 약 7700억원이 투입된다.

이외에도 한국형 구축함(KDDX)에 탑재해 항공기 및 순항유도탄에 대한 요격기능을 갖춘 유도탄을 보유하는 함대공유도탄-Ⅱ 사업에 6900억원을 들여 오는 2030년까지 국내 연구개발은 물론, 양산까지 목표로 설정했다.

구축함(KDX-Ⅱ) 탑재 및 서북도서(연평도·백령도) 감시·정찰용 무인항공기를 국내 연구개발로 확보하는 무인항공기 사업에는 오는 2031년까지 5500억원이 투입된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구·경북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특종

미디어비평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