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진흥법' 시행 앞두고 의원회관서 토론회... '바둑 공교육', '바둑 문화산업 육성' 등 논의
  • ▲ 조훈현 자유한국당 의원(사진)은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바둑진흥법 제정 이후의 과제'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조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뉴데일리 공준표
    ▲ 조훈현 자유한국당 의원(사진)은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바둑진흥법 제정 이후의 과제'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조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뉴데일리 공준표
    29일 오전,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 조훈현, 유창혁 등 왕년의 바둑 고수들이 모습을 드러냈다. 대국이 목적은 아니었다. 바둑 세계화 등의 내용을 담은 '바둑 진흥법' 시행을 50여 일 앞두고, 국회의원회관 제 2소회의실에서 열린 토론회에 참석하기 위한 방문이다. 

    조훈현 자유한국당 의원이 '바둑진흥법 제정 이후의 과제'를 주제로 마련한 토론회다. 조 의원은 "바둑 진흥법의 시행으로 바둑계도 중장기 발전 계획을 세워 정부와 지자체 지원을 이끌어낼 수 있는 법적 기반을 갖게 됐다"고 말하며 토론의 시작을 알렸다. 

    '바둑 진흥법'은 바둑의 진흥 및 바둑문화 기반조성에 필요한 사항을 법률로 정함으로써 국민의 여가선용 확대와 건강한 정신함양 및 바둑의 세계화를 목적으로 한다. 주요 내용은 △바둑진흥기본계획 수립·시행 △바둑단체 지원 및 바둑전용경기장 조성 △바둑문화산업 융합 및 연계 △바둑 국제교류 및 해외확산 지원 등이다.

    조 의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바둑 진흥법'을 지난 2016년 8월 발의했다. 교문위 공청회·법사위 심사 등을 거쳐 지난 3월 국회 본회의에서 재석 의원 171명 만장일치 찬성으로 통과됐다. 4월 17일 최종 공포된 이 법안은 6개월 뒤인 10월 18일부터 시행된다.
  • ▲ 왼쪽부터 이병두 세한대 교수, 송재수 대한바둑협회 상임부회장, 김승규 문체부 과장, 정수현 명지대 교수, 유창혁 한국기원 사무총장, 손근기 한국프로기사회장, 엄민용 경향신문 부장. ⓒ뉴데일리 공준표
    ▲ 왼쪽부터 이병두 세한대 교수, 송재수 대한바둑협회 상임부회장, 김승규 문체부 과장, 정수현 명지대 교수, 유창혁 한국기원 사무총장, 손근기 한국프로기사회장, 엄민용 경향신문 부장. ⓒ뉴데일리 공준표
    유창혁 한국기원 사무총장 외에 정수현, 송재수, 송근기 등 바둑인들 참석

    이날 토론회는 정수현 명지대 바둑학과 교수를 좌장으로, △김승규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정책과장 △유창혁 한국기원 사무총장 △송재수 대한바둑협회 상임부회장 △손근기 한국프로기사회장 △이병두 세한대 생활체육학과 교수 △엄민용 경향신문 체육부장 등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바둑 진흥법' 주무부처인 문체부는 진흥법 제정 전에도 '다문화가정 및 소외계층 바둑보급' '여성바둑 진흥 사업' '바둑 실업팀 창단 및 리그 운영' 등 다양한 바둑 지원 사업을 진행해왔다. 문체부는 올해 약 33억원의 예산을 이같은 바둑사업에 지원했다.

    김승규 문체부 과장은 "바둑 진흥법은 20대 국회에서 체육 분야에서는 유일하게 제정법으로 통과된 법안으로 의미가 크다"며 "바둑이 대중적인 스포츠로 거듭날 수 있도록 주어진 여건 내에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1945년 설립된 한국기원은 현재까지 439명의 전문 바둑기사를 배출했다. 이 중 조훈현, 이창호, 이세돌 등의 기사들이 한국을 바둑 최강국으로 이끌며 바둑 저변 확대에 기여했다. 그러나 현재 한국 바둑은 스마트폰 보급·여가 활동의 다양화 등으로 청년층의 외면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 유창혁 한국기원 사무총장은 "현재 한국바둑의 성장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국내 바둑인구의 정체와 고령화"라며 "바둑 진흥법을 통해 바둑의 공교육 진입·바둑 문화산업 육성 등 젊은 바둑인구를 확충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유 사무총장은 "소수의 엘리트 바둑인 육성으로 바둑 인기를 되살리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시대 흐름에도 맞지 않다"며 "바둑팬 없는 프로기사는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생활체육으로서의 바둑도 균형 있게 발전시키겠다"고 강조했다.

    국민들의 바둑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경기시설 확충 및 세계적 스포츠로 안착한 양궁·태권도처럼 바둑에 대한 정부 차원의 체계적 지원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송재수 대한바둑협회 상임부회장은 "국민이 바둑을 접할 수 있는 곳은 방과후 학교, 바둑센터 등 범위가 제한적이므로, '바둑 진흥법'을 활용해 바둑 접근성 개선에 주안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손근기 한국프로기사회장은 "바둑인들이 해외에 나가 바둑을 보급할 때, 비자 문제로 불체자가 되는 경우도 있다"며 "바둑 세계화를 위한 초석인 해외 바둑 보급의 안정성을 위해 정부기관의 도움이 절실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