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광주 박사 "삼국사기 개로왕조 '증토축성' 증명"
  • "이에 나라 사람들을 모두 징발해 '증토축성(烝土築城)'케 하고 궁실과 누각과 보루 등을 지으니 웅장하고 화려하지 않은 데가 없었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개로왕 21년(475) 조(條)에 보이는 기록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이런 대규모 공사로 국고가 고갈돼 결국 백제는 고구려 장수왕의 침략을 받아 수도 한성(漢城)이 함락되고 개로왕이 포로로 잡혀 참수되는 크나큰 치욕을 겪는다.

  •    이 기록에 보이는 '증토축성'이란 말은 글자 그대로는 흙을 쪄서 성곽을 만든다는 뜻이지만 도대체 흙을 어떻게 찌며, 그렇게 찐 흙을 어떻게 쌓는지, 그리고 이렇게 쌓은 성이 도대체 어디인지 등등은 모두 역사의 베일에 가려 있다.

       하지만 역사고고학 전공인 토지주택박물관 문화재지원팀장 심광주 박사는 증토축성은 중국의 역사에 견주어 볼 때 석회를 사용해 쌓은 견고한 성곽을 말하며, 이때 개로왕이 쌓은(혹은 수리한) 성곽이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내에 있는 몽촌토성이라는 파격적인 주장을 최근 제기했다.

       심 박사는 서울시사편찬위원회 기관지인 '향토서울' 최신호(76호)에 기고한 '한성백제의 증토축성에 대한 연구'라는 논문에서 '증토축성'에서 증토(烝土)란 석회에 물을 부어 소석회(消石灰)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기는 열과 수증기를 묘사한 말이며, 백제 성곽 중 이런 석회를 섞어 쌓은 성곽이 몽촌토성이라고 주장했다.

       심 박사에 따르면 몽촌토성은 올림픽경기장 조성과 관련해 1984년 숭전대(숭실대)가 북동쪽 성벽 두 군데를 절개해 조사한 결과 석회가 포함된 판축(板築)성벽임이 확인됐다.

       즉, 당시 조사결과 지표3.6m 깊이의 성벽 판축층에서 두께 약 50㎝인 석회 포함층 2개가 드러났다는 것이다.

       한반도를 포함한 고대 동아시아 세계에서 석회는 처음에는 조개껍데기를 분쇄해 만들어 사용하다가 중국에서 5호16국 시대에 흉노족인 혁련발발(赫連勃勃)이 대하(大夏.407~431) 왕조를 세우고 그 도읍에 건설한 통만성(統萬城)을 쌓을 때 바로 자연산 석회를 이용하기 시작했다고 심 박사는 전했다.

      
     


  • 몽촌토성 성벽과 해자 


    심 박사는 한국사 기록에는 오직 한 번밖에 안 보이는 '증토축성'이라는 용례가 중국에서도 오직 혁련발발에 의한 통만성 건설 관련 기록에만 보인다는 점을 중시하면서, 아울러 이런 통만성이 발굴조사 결과 생석회를 섞어 사용한 성곽으로 드러난 점을 주목했다.

       중국 역사서들에 따르면 혁련발발은 네이멍자치구와 인접한 지금의 산시성(陝西省) 북부에 통만성을 쌓으면서 그것을 "증토축성케 하고는 송곳이 1촌이라도 들어가면 그것을 만든 자를 죽여 함께 쌓았다"고 한다.

       심 박사는 '증토축성'한 통만성 축조 사정을 고려할 때 백제 개로왕이 증토축성했다는 성곽도 석회를 개어서 지금의 시멘트벽과 같이 견고하게 쌓은 성곽일 수밖에 없으며 발굴성과로 볼 때 몽촌토성이 바로 이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심 박사는 한성백제가 석회를 생산하기 시작한 것은 원주 법천리 고분과 판교 9호 석실분에서 조개를 재료로 한 석회가 확인된 점을 고려할 때 최소한 4세기 말 이전으로 추정되며, 석회석을 이용하는 방식은 5세기 무렵에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몽촌토성은 평지 토성이자 한성 도읍기 백제 왕성임이 확실한 풍납토성에서 남쪽 1㎞ 지점의 해발 50m 내외의 자연 능선을 이용해 쌓은 성곽으로 전시 같은 비상사태에 백제 왕이 농성하는 곳으로 활용한 곳으로 추정되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