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뢰의 3요소를 이루어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들자.

  • ▲ 박재현 ⓒ 뉴데일리
    ▲ 박재현 ⓒ 뉴데일리

    통계청에서 2009년 12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을 신뢰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28.2%만이 '그렇다'고 답하여, OECD 19개국 중에 14위에 이르렀다고 한다.
    사회 구성원들을 믿을 수 없고, 정부를 믿을 수 없고 기업을 믿을 수 없는 문화, 이런 문화를 ‘저신뢰문화’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현재 선진국의 문턱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는데, 그 원인으로 이런 저신뢰문화가 밑바탕에 깔려 있지 않나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4월 22일에 열린 제44차 월례토론회에서는, 신뢰와 사회적 자본이라는 주제로, 신뢰를 사회적 자본으로 규정하고, 연고주의 문화로 인해 공적신뢰도가 떨어지는 우리나라의 저신뢰문화의 원인을 분석하고, 신뢰가 높으면 거래 비용이 감소하여 경제 성장에도 도움이 됨을 인식하여, 고신뢰사회로 넘어갈 수 있도록 정치, 경제, 법률 등의 분야에서의 신뢰회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를 위해 재산권의 보호, 실업정책의 수립, 아래로부터의 법치주의 등 다양한 해결방법이 제시되었다.

     실제로, 우리 사회의 공적 신뢰는 계속해서 무너져가고 있다.
    최근에는 PD수첩에서 밝혀진 검찰의 비리를 통해, 또다시 검찰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가 무너졌다.
    그리고 이렇게 수십 년에 걸쳐서 처절하게 무너져버린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 방법을, 심리학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심리학에서 신뢰는 '타인이 나에게 도움이 되는 의도와 행동을 나타낼 것이라는 긍정적 기대와 더불어 그를 돕기 위해 나의 위험을 감수하려는 심리적 상태'라고 정의된다.
    정의에 의하면, 신뢰의 3요소는 상대방에 대한 긍정적 기대, 위험을 감수할 용의, 상호의존성이다.

     이에 따라, 먼저 우리는 상대방에 대한 긍정적 기대를 가져야 한다.
    인간관계에서 이런 긍정적 기대는 과거에 상대방이 지속적으로 호의적 태도와 협력적 행동을 보여줬을 때 쉽게 나타난다. 따라서 정부는 정책을 펴는데 있어서 일방적이 아니라 협력적인 자세로 시민들과 의논해야 하고, 시민들 또한, 지속적인 협력을 보여주어, 정부와 시민이 서로가 이 사회를 위해 일한다는 호의적이고 긍정적인 기대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위험을 감수할 용의는, 나의 이익을 기꺼이 희생하면서 상대방의 손실과 위험을 줄이기 위해 도우려는 의도이다. 우리는 지난 IMF 때, 나라에 닥친 위기를 위해 모두가 자신의 금붙이들을 내놓으면서 기꺼이 자신을 희생했다. 이런 행위는 결국 신뢰가 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호의존성은, 서로 주고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공적 신뢰가 저변에 깔리려면 서로 소통이 원활하게 되어야 한다. 기본적으로 말이 통하는 사람이어야 믿을 수 있을 것이 아닌가? 마찬가지로, 소통이 자유롭게 이루어져야 공적 신뢰가 형성된다.

     신뢰도 10% 올라가면 경제성장률이 0.8% 올라간다고 한다.
    신뢰는 단순한 믿음을 넘어서는 경제적 가치를 지닌다. 한편 Trust는 편안함을 뜻하는 독일어 Trost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신뢰가 가진 경제적 가치보다도 더 앞서는 것은, 다른 이들을 믿을 수 있다면, 너무나 편안할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그것이 우리가 생각하는 선진국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