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한국 사이버 전쟁중, 공격배후 밝힐것"

입력 2009-07-09 14:14 수정 2009-07-09 19:09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은 한국과 미국의 주요 기관 인터넷 사이트를 마비시킨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 관련 "사이버 보안은 국가 안보 필수조건"이라며 "정부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완벽한 사이버 공격 대응체제를 갖추는 데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최 위원장은 9일 한국과 미국의 주요 기관 인터넷 사이트를 마비시킨 '디도스 공격'을 "사이버 전쟁"이라고 표현했다 ⓒ연합뉴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최 위원장은 9일 한국과 미국의 주요 기관 인터넷 사이트를 마비시킨 '디도스 공격'을 "사이버 전쟁"이라고 표현했다 ⓒ연합뉴스

이날 최 위원장은 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총무 이목희)토론회 연설에서 "초유의 얼굴없는 사이버 공격으로 국민 심려가 크다"며 포문을 열었다. 이날 최 위원장은 '사이버 테러 엄단'이라는 당초 원고에 없는 말을 급히 수정해 넣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만큼 방통위에서도 이번 디도스 공격에 강력한 대응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최 위원장은 "방통위는 이번 사건을 안보와 경제를 혼란에 빠뜨리려는 중대 사태로 간주하고 국정원과 검찰, 인터넷서비스 제공자 등과 공조해 철저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며 "사이버 공격 배후도 조속히 밝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이번 사태를 '사이버 전쟁'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타깃을 보면 전국적이고 중요한 국가 기관이 다 당했다"며 "이는 조직적이며 장기적이고 계획된 테러 내지 전쟁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정부는 소리없는 전쟁을 치르고 있다는 각성을 해야 하고 국민도 이같은 인식을 공유해 대응해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사이버 안보는 필수조건...정부조직 분리돼 통합대응기구 필요"

최 위원장은 '사이버 테러관련 국정원 행안부 국방부 등 전체를 아우를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는 비판에 "정부 조직이 법적으로 각자 영역에서 소리를 낸 게 어떻게 보면 열심히 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통합할 타워가 없어서 이런 일이 생긴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면서 "조금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공감을 표했다. 과거 주무부처였던 정보통신부가 국정원·행안부·지경부·방통위 등으로 나뉘면서 디도스 공격 같은 사이버 테러 후 개별 부처간에 각자 브리핑이 나오고 있고 어느 사안까지를 어떤 부처가 담당할 지에 혼선이 인 점을 인정한 것이다.

디도스 공격 관련, 외부 군사 공격시  군 대응체제 문제도 제기됐는데 최 위원장은 "국방부를 중심으로 하는 안보 관련 기구들은 조금의 차질도 없이 그대로 운영되고 있고 성실하게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 위원장은 "정부도 앞으로는 사이버 테러와 전쟁을 대비하기 위해 각별한 노력을 할 것"이라며 "이것은 IT강국의 명예를 지키기 위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구·경북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윤서인의 뉴데툰

특종

미디어비평

뉴데일리 칼럼 프린트 버전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