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7년12월 대통령 선거 때 김대중 후보를 찍었던 사람들중 과연 몇 명이 그에게 反대한민국 활동의 면허증을 주고싶었겠는가?
      
    고향출신 후보를 선호하는 행위는 헌법정신에 위반되지 않을 때는 아무도 탓할 수 없다. "모든 정치는 로컬(local)"이란 말이 있다. 정치인이 고향을 아끼고 고향이 그 정치인을 애호하는 것은 國益을 파괴하지 않는 한 권장할 만하다. 문제는 고향출신 정치인이 헌법에 위반된 행위를 할 때 고향사람들은 어떻게 할 것인가이다. 
      
    경상도 사람들은 이런 문제에 대하여 세 번 大乘的(대승적) 결단을 내렸다. 즉 경상도 출신 朴正熙, 全斗煥 두 대통령이 민주주의에 逆行한다고 판단했을 때 경상도 사람들이 들고 일어나 두 사람의 정치적 운명을 바꾼 적이 있다. 
      
    1979년 10월16~18일 부산 마산 시민들은, 박정희 대통령의 장기집권과 야당 탄압에 항의하여 거리로 뛰쳐나와 釜馬사태를 일으켰다. 朴정권은 비상계엄령과 위수령으로 대응했고, 권력층 내부의 갈등 속에서 朴대통령은 동향인인, 경상북도 선산 출신 金載圭 정보부장에 의하여 피살되었다. 이때 朴대통령을 가장 강력하게 반대했던 야당 지도자도 부산 출신 金泳三이었다. 즉, 朴대통령은 그의 강압정치에 반대하는 경상도 사람들에 의해 거세되었던 셈이다. 
      
    1985년 2.12 총선 때 경남 합천 출신 全斗煥 정권에 가장 선명히 반대했던 것도 부산과 대구였다. 당시는 한 지역구에서 2명의 의원을 뽑을 때였는데 부산에선 민정당 후보 세 사람이 낙선하고, 대구와 서울에선 여당 현역의원이 한명씩 낙선했다. 이 異變이 2.12 총선을 민주화 흐름의 분수령으로 만들었다. 당시 서울 택시기사들은 부산사람들한테서는 요금을 받지 않겠다는 말을 하기도 하였다. 
      
    1987년 6월사태 때 가장 대규모의 시위를 했던 곳도 부산이었다. 특히 6월18일의 부산 대시위는 시청을 함락시키기 직전까지 갔다. 다음날 全斗煥 정권은 경찰력에 한계가 왔다고 보고 비상계엄령을 준비하다가 마지막 단계에서 포기하고 6.29선언으로써 국민들의 여망을 받아들였다. 
      
    위의 세 사례들은 경상도 사람들, 특히 부산-慶南사람들이 '민주주의냐 경상도 정권이냐'의 기로에서 민주주의를 선택함으로써 지역주의를 극복하고 국가이익을 수호했음을 보여준다. 김대중씨를 지지해온 호남사람들의 선택은 더 쉬울 것이다. 그것은 '김대중이냐 대한민국이냐'의 선택 구도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어제 김대중 전 대통령은 李明博 대통령을 사실상 독재자라고 규정하고 국민들이 봉기해야 한다고 선동하였다. 같은 입으로 핵도발을 하고 있는 김정일이 지금 억울한 일을 당하고 있다면서 미국을 비난하였다. 
     
    그가 국민을 속이고 법을 어기면서 (현대그룹과 국정원을 앞세워) 4억5000만 달러를 김정일의 해외 비자금 계좌로 보내주고 얻어낸 김정일과의 회담에서 6.15 선언이 나왔다. 그 내용은 대한민국의 헌법이 규정한 '평화적 자유통일'을 정면으로 위반한 '연합제-연방제 혼합형 통일안'이었다.
     
    어제도 김대중 전 대통령은 李明博 대통령이 6.15 선언을 실천해야 한다고 압박하였다. 6.15 선언대로 하면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와 국가정통성을 포기하여야 한다. 이는 國體변경을 뜻한다. 따라서 김대중씨는 헌법질서를 부정하는 국가변란을 선동하고 있는 셈이다. 
     
    한국의 反共보수정치는 호남에 기반을 둔 한민당에서 비롯한다. 6.25 동란 때 좌익들로부터 가장 큰 피해를 본 곳이 호남이다. 전국에서 좌익에게 학살된 6만 명중 4만 명이 호남사람들이었다. 
     
    이런 전통을 이어 받은 호남사람들은 '대한민국이냐, 김대중이냐'의 선택에서 고민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