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로켓 발사에 대한 유엔 차원의 대응방안을 협의하고 있는 안보리 핵심 6개국(5개 상임이사국+일본)이 이틀 간의 공전 끝에 9일 저녁 오후 7시30분(현지시간) 회의를 속개됐지만, 결론 도출에는 또 다시 실패했다.
    수전 라이스 주 유엔 미국 대사는 "논의가 생산적이었다"면서 "논의는 계속될 것"이라고만 말했다.
    라이스 대사는 `생산적'이라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 언급을 하지 않았다.
    장예수이(張業遂) 중국 대사는 "형태(결의안이 될지, 의장성명이 될지)에 대해서 계속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카스 유키오(高須幸雄) 일본 대사도 "북한의 심각한 행동에 대해 강력하고 일치된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매우 생산적인 논의를 했고, 계속 논의를 하기로 합의했다"며 "일본의 입장은 여전히 같다. 북한의 발사로 일본이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며 강경 결의안 채택이라는 기존 입장에 변화가 없음을 시사했다.
    북한이 안보리 결의 1718호를 위반한 것이라며 강력하고도 신속한 제재를 취할 결의안을 채택해야 한다는 미국.일본의 입장과 강경대응은 상황을 악화시킬 뿐이라는 중국과 러시아의 입장 차이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이들은 결의안과 의장성명 등 안보리의 대응 방식을 놓고 협의를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6개국의 비공개 회의도 시작한지 약 50분만에 끝났고 10일 '성 금요일'부터 시작되는 주말 연휴에 또 다시 논의를 재개할 것인지도 불투명하다.
    교도통신은 중국이 미국과 일본에 의장성명 초안을 돌렸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으나 확인되지는 않고 있다.
    한국 대표부의 고위 관계자는 "아직 이렇다 할 입장 변화가 감지되고 있지는 않다. 의장성명을 회람할 상황까지 진전되지는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당장 어떤 합의가 도출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 미국과 일본 간에도 대북 제재 강도를 놓고 입장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P 통신은 알본이 북한의 미사일 시험을 지원한 것으로 보이는 10개 기업을 선정해 제재하는 결의안을 원하고 있는 반면 미국은 그럴 경우 시간이 너무 지체되므로 이는 향후 제재위원회로 넘기는 것이 낫다는 입장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앞서 중국.러시아와 일본 정부 관계자는 여전히 입장에 변화가 없음을 밝혔다.
    장위(姜瑜)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압력과 제재는 한반도의 비핵화를 실현하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안드레이 네스테렌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몇몇 안보리 상임이사국들이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를 포함한 강력한 결의안을 추진하는데 러시아는 그런 행동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현존하는 유엔 안보리 결의 1695호, 1718호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중.러는 강도 낮은 우려를 담은 의장성명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일본의 이토 신타로(伊藤信太郞) 외무성 차관은 북한 로켓에 대한 안보리의 대응이 신속하게 이뤄지지 못한다면 안보리에 대한 신뢰도에 "의심"이 생길 것이라며 "결의안 채택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뉴욕을 방문 중인 그는 수전 라이스 유엔 주재 미국 대사에게 유엔의 새로운 대북 결의안이 필요하다는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총리의 의사를 전달했다.
    유엔의 한 외교관은 "현재 결의안을 고집하고 있는 미.일이 의장성명으로 형식을 양보하고, 강도 낮은 우려 표명을 주장하는 중.러가 강력한 대북 비판 내용을 수용할 경우 협상이 급진전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유엔본부=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