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무현 대통령과 정동영․김근태 전 열린우리당 의장간의 ‘막가파’식 싸움이 좀처럼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차기 대선을 무시할 수 없는 이들 두 전직 의장의 입장에선 이번이 마지막으로 주어진 ‘호기’라는 말도 나온다. 때문에 임기말 정국주도권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는 노 대통령과 이들 두 전직 의장간의 대충돌은 불가피한 양상이다.

    당장 당 안팎에선 정․김 두 전직 의장의 노 대통령과의 각 세우기는 열린당의 실정에 따른 책임론에서 거리를 두는 동시에 차별화를 꾀하면서 탈당 명분 확보 차원이란 이유가 깔려있다는 분석이다. 이미 탈당 의중을 밝힌 만큼, 탈당 명분 확보 차원에서라도 노 대통령과 노 대통령을 위시한 당내 친노(親盧)진영과의 대결구도 조성이 불가피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실제 이들 두 전직 의장측의 한 관계자는 “이미 결심을 굳힌 상태에서 이렇게 나갈 수밖에 없지 않느냐”고 했다. 

    그러나 탈당 명분 확보를 통한 차별화 외에도 부수적으로 범여권의 자기세력 확보 차원의 이유도 농후하다는 관측이다. 5월말~6월초 중대 결심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당내 계보 소속 의원들의 관리적 성격과 함께 향후 범여권내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를 대비하기 위한 차원이라는 것. 당 안팎에선 정․김 두 전직 의장이 당내 최대 계보를 이끌어왔었지만 지금은 그리 사정이 녹록한 편이 아니다는 말을 하고 있다. 정․김 두 전직 의장을 전적으로 믿고 정치적 운명을 일임하기에는 대선주자로서의 이들의 지지율이 현저히 낮다는 것이다. 일부 의원들은 “차라리 예전의 3김정치가 부활했으면…”이라면서 최근의 고민스런 상황을 피력하기도 했다.

    당장 정․김 두 전직 의장의 탈당 대열에 동반할 계보 의원들의 숫자를 놓고 '초라한 탈당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것도 이런 관측과 무관치 않다는 것이다. 노 대통령을 위시한, 특히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의 당 복귀를 앞두고 있는 당내 친노진영과의 대결구도를 조성함으로써 계보 및 소속 의원들의 결단을 촉구하는 계산도 감안돼 있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이들 전직 의장측의 한 관계자도 뉴데일리와 만나 “사실 탈당 대열에 합류할 의원이 몇 명이나 될지…”라며 탈당 규모에 대한 적잖은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아울러 국정운영 실패에 그에 따른 책임을 노 대통령의 참여정부과 친노세력으로 한정해, 자신들과의 무관성을 강조하면서 낮은 지지율 극복을 위한 시도 차원도 이번 노 대통령과의 싸움의 기저에 깔려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그러나 이들 두 전직 의장들은 참여정부하에서 장관을 지내고 열린당 창당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던 만큼, 이번 ‘막가파’식 싸움의 기저에는 ‘지지율 올리기’ 차원보다는 분명한 차별화를 통한 향후 범여권의 오픈프라이머리 준비 성격이 짙다는 설명이다. 어차피 열린당내 친노세력은 범여권의 통합의 대상에선 일단 멀어졌음이 여실히 드러났다는 판단에서다.

    이와 함께 한나라당내 당 경선 결과 여하에 따라서는, 현재 독자세력화에 나서고 있는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의 세력견고화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향후 손 전 지사와의 범여권의 오픈프라이머리 대결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서 일단은 자기세력 확보에 방점이 찍혀있는 것 아니냐는게 범여권의 해석이다. 한나라당의 박근혜 전 대표와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대선후보선출을 위한 당내 경선 결과 여하에 따라선 이들을 지지했던 세력들 중 일부가 이탈해 손 전 지사에게로 이동할 수도 있다는 관측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