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의 운명을 가를 2007년 대선(大選)이 1년 앞으로 다가왔다. 국민의 입장에서 본다면 내년 대선에서 10년 좌파정권의 실정(失政)을 심판하고 국가의 미래발전을 이끌 수 있는 정권을 창출하는 것이 지상과제이다. 반면 좌파정권과 한나라당 입장은 공히 내년 대선의 패배는 자신들의 파멸과 직결되는 만큼 내년 대선은 건곤일척(乾坤一擲)의 대결전이 될 전망이다.

    특히 실정을 거듭하면서 바닥을 헤매고 있는 지지율을 역전시키려는 좌파정권의 비열한 꼼수와 내년 대선 결과가 자신의 사활과 직결된다고 생각하고 있을 북한 김정일 정권의 노림수가 맞물려 전개될 남북합작(南北合作)과 한나라당에 대한 음해는 과거의 어느 대선보다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따라서 한나라당은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현재 항간(巷間)에서는 내년 대선을 겨냥해 좌파정권이 계획하고 있다는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회자(膾炙)되고 있는 중이다. 여기에는 대선주자의 신상문제, 선거제도에 관한 문제, 선거환경에 관한 문제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 내용은 선거 판세는 물론 선거 자체에도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들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심각하다.

    우선 선거제도 측면에서 후보자 보호와 전자개표에 대한 대비가 절실하다. 첫째 후보자 보호와 관련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것은 야당의 유력 후보에 대한 테러 가능성이다. 현행 선거법에는 선거일에 임박해 유력한 대선 후보에게 변고가 생길 경우 피해 정당은 다른 후보를 낼 수 없다는 심각한 취약점이 존재하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테러가 증가되는 추세이고 더욱이 내년 대선에서 야당 후보에 대한 북한의 테러 가능성이 크게 우려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행 선거법이 개정되지 않을 경우 내년 대선에서 승리가 유력한 한나라당이 정작 대선에는 참여조차 하지 못하는 최악의 사태가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현재 한나라당내 '푸른모임' 소속 의원을 중심으로 대선 후보의 유고시 선거일을 연기하는 방안을 포함하여 유력 후보 기준과 유고 범위에 대한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은 다행이 아닐 수 없다. 다만 이 문제는 한나라당의 사활이 걸린 문제인 만큼 '푸른모임' 차원이 아니라 당 차원에서 총력을 기울여 추진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둘째 전자개표방식의 재도입에 대한 문제이다. 전자개표방식을 재도입하는 경우 한나라당은 승리를 기대할 수 없다. 2002년 대선 이후 일각에서는 전자개표방식의 재도입을 반대하는 의견이 줄기차게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2002년 대선에서 전자개표방식을 도입한 결과 발생했던 지극히 부정적인 사례들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나라당은 이 문제에 대해 그다지 큰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역대 선거에서 보듯이 대선의 승패는 단지 몇 %라는 지극히 작은 차이로 승패가 결정되었으며 이번에도 예외가 아닐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는 전자개표방식을 재도입하는 경우 만에 하나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피해는 한나라당이 고스란히 뒤집어쓸 가능성이 높다. 한나라당은 전자개표방식의 재도입을 철저히 막아야 한다.

    다음으로 선거환경 측면에서 좌파정권에 의해 조작될 이슈에 대한 대비가 절실하다. 선거는 이슈 전쟁이고 선거의 승패는 파괴적인 이슈의 선점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해고 과언이 아니다. 2002년 대선에서 진보와 개혁이라는 이슈를 동원하여 한나라당 후보를 수구 꼴통으로 몰아붙여 대세를 장악했던 좌파정권은 이번 대선에서도 새로운 이슈 조작을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다.

    그것은 바로 내년 대선을 자주(自主)와 사대(事大) 그리고 평화(平和)와 전쟁(戰爭)이라는 대립적 이슈를 동원하여 기선을 제압하려 한다는 것이다. 현재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시나리오에 따르면 내년 봄에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고 이를 계기로 여권을 자주와 평화세력으로 묶고 야권을 사대와 전쟁세력으로 몰아간다는 내용이다.

    현재 열린우리당의 유력 의원을 중심으로 '평화민주세력의 대결집' 주장이 나오고 있는 점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게다가 좌파정권은 국제공조와 제한적 대북 지원을 주장하는 인사와 야당에게는 줄기차게 "전쟁이라도 하자는 말인가"라고 역공을 취하면서 이들을 전쟁세력으로 몰아붙이고 있다.

    자주와 사대, 평화와 전쟁이라는 대립적 이슈는 이미 유권자 속으로 파고 들어가고 있는 중이다. 김대중 정권부터 시작된 '우리 민족(民族)끼리' 정서에 따라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실험과 핵실험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은 국민들에게 한반도에는 이미 자주, 평화, 통일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는 듯한 착각으로 다가가고 있다.

    일각의 시나리오대로 내년 봄에 남북정상회담이 실현되어 남북평화협정, 남북연방제 등과 같은 일련의 평화 공세가 이어지게 되는 경우 대선 정국은 자주, 평화, 통일세력으로 가장한 좌파정권에 의해 완전히 장악될 가능성이 크다. 정말 내년 대선 환경이 자주와 사대, 평화와 전쟁 구도로 전개되는 경우 사대와 전쟁세력으로 몰릴 것이 뻔한 야권은 좌파정권이 주장하는 자주와 평화를 이길 수 없다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이 이분법적으로 조작된 이슈가 대선 환경을 주도할 경우 50%에 달하는 한나라당 지지율과 10%대에 머물고 있는 좌파정권 지지율은 전혀 무의미하게 될 것이며 이는 순식간에 50 대 50이라는 박빙의 대결 구도로 변화될 것이다. 왜냐하면 자주와 사대, 평화와 전쟁이라는 단순하고도 감정적 차원의 이슈는 유권자들을 극단적으로 양분시켜 지지율과는 관계없이 양자택일의 문제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좌파정권은 이상과 같은 시나리오 외에도 정계개편을 통해 현재 열린우리당을 인위적으로 분열시킨 뒤에 선거 막바지에 합당 또는 후보 단일화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높이는 반면 한나라당에 대해서는 대선 후보 경선에서 패배한 유력 인사의 이탈을 조장하고 또한 UCC(이용자 제작 콘텐츠) 인터넷 환경 구축과 같은 새로운 인터넷 홍보 전략을 통해 대선 판세를 조작할 것이라는 전망이 일고 있다.

    이와 같은 시나리오들에 대하여 한나라당은 어떤 대책을 준비하고 있는가? 선거판의 유권자들은 연약한 갈대와 같다. 아무리 허무맹랑한 이론이라도 일단 여론으로 형성되면 그 흐름을 쫓는 것이 유권자인 것이다. 한나라당이 지난 두 번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아무리 하찮은 소문이라도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하지 않으면 안된다. 철저한 대비 없이 임기응변으로 우왕좌왕하다가는 이번에도 실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