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교조가(전국교직원노동조합) 8월 30일 차등성과급과 교원평가제, 한미 FTA 저지를 위해 10월말에 ‘연가투쟁’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연가투쟁이란 교사들이 휴가를 집단적으로 내는 것으로 사실상 수업거부와 같은 효과를 낸다. 물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수업 손실은 동료 교사들이 부담을 떠맡게 된다.

    11월 16일 수능을 보름 앞두고 집단휴가를 낸다는 발상이 과연 학생들을 위한 교육운동인가, 정권잡으려는 정치운동인가 헷갈리게 된다.

    지난 시·도 교육위원 선거에서 전교조 추천 후보 41명 중 14명만이 당선됐다. 2002년엔 전교조 후보가 24명 당선됐으니 4년 만에 반쪽이 난 셈이다. 왜 이런 참담한(?) 결과가 나왔을까? 전교조는 가슴에 손을 얹고 한 번 쯤 반성해 볼 일이다. 겸허한 반성은 전교조를 위해서나 국민을 위해서나 옳은 일이기 때문이다.

    전교조의 참패이유는 편협한 이념·조직에 대한 외부의 엄정한 심판이라 하겠다. 현재의 강성 집행부는 오직 “경쟁은 나쁘고 협동은 좋다”라는 이분법적 경직된 사고로 우리 교육을 바라본다. 방과 후 보충수업, 학교 정보 공개, 성과급 차등지급, 교원 평가제 등 교육 경쟁력을 높이자는 모든 정책에 반대하고 있다.

    사교(邪敎)집단 수준으로 전락한 전교조의 현주소를 살펴보자. 서울의 전교조는 ‘선군(先軍)정치 만세’라는 구호가 적힌 북한 정치 포스터를 교실 환경미화용으로 쓰라고 인터넷에 올렸다. 부산 전교조는 김일성 항일 투쟁을 미화한 북한 역사책을 베껴서 자체 연수교육자료로 썼다. 부천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지 말라, 군대에 가지 말라고 가르친 교사도 전교조다. 이밖에도 전교조 폐해의 사례는 필설로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이다.

    그나마 집행부의 강경투쟁방안 일변도에 문제를 제기하는 대의원들이 있어 다소나마 위안이 된다. “징계 당해도 좋다는, 물러설 수 없다는 사람들을 모아서 연가투쟁을 하든지 해야 하는 것 아닌가” “연가투쟁의 우선적 목표는 성과급 반대, 교원평가 반대가 아니라 학생을 우선순위로 하는 것으로 바꿔야 한다” “교육운동이 아니라 정권을 잡아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는 내부의 비판에 전교조 지도부는 귀를 막아서는 안 된다.

    차별화`경쟁`혁신에 앞장서고, 연가투쟁 백지화해야

    이 땅의 학부모들은 어쩌면 자신들의 삶보다는 자식들을 위한 삶을 살고 있다. 하루하루의 삶이 고달픈 질곡과 같은 현실 속에서 미래의 희망을 자식의 교육에서 찾고 있다. 부모들은 다음 세대에 좀 더 나은 세상을 물려줄 수 있다면 지금의 어떤 고난도 참고 견뎌 나간다. ‘기러기 아빠’, ‘조기 유학’, ‘무역흑자 1/4을 유학비로 쓰는 나라’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전교조의 기여가 있었다면 과장된 표현일까.

    전교조가 사는 길은 가까운 곳에 있다. 국민의 지지를 회복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차별화와 경쟁, 혁신의 개념을 교육에 끌어들이는데 앞장서는 것이다. 전교조 설립의 순수한 초심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리고 당장 10월 말로 예정되어 있는 ‘연가투쟁’ 계획을 백지화하는 것이다.

    향후 전교조가 개과천선(改過遷善)으로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면 학부모들은 해당 전교조 회원들을 더 이상 선생님으로 생각하지 않을 것이며 전교조 퇴출운동이 요원의 불길처럼 타오를 것이다. 교육당국도 교육법에 의거 학습권을 침해한 당사자들을 의법 처리해야 할 것이다. 만약 그러한 조치를 취할 수 없다면 학부모들에게 자기 자녀들을 전교조 선생님에겐 맡기지 않을 권리라고 보장해줘야 하지 않겠는가.

    <객원칼럼니스트의 칼럼내용은 뉴데일리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