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31 지방선거가 끝남에 따라 정치권의 관심이 열린우리당 분당 여부에 쏠리고 있다. ·

    선거패배책임론으로부터 불거질 당내 계파간 갈등이 분열로 치닫을 가능성이 다분한 만큼 열린당을 이탈한 일부 세력들의 '미니 신당' 출현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정치권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이런 총체적인 갈등 양상이 지방선거 결과로 불거진 정계개편 필요성과 여권 내 차기 대선구도 변화와 맞물리면서 전면적으로 확대되고 결국은 열린당의 분열이란 상황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당장 당 일각에서도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을 중심으로 한 구 개혁당그룹이 주축인 ‘참여정치실천연대’(참정련)의 움직임에 주목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들의 움직임이 과거 ‘개혁당’과 같은 '미니정당' 창당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참정련의 대표주자인 김두관 최고위원이 지방선거 기간 중임에도 불구하고 정동영 의장의 정계개편 발언에 “당을 떠나라”며 들이받은 것도 이런 관측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지방선거 이후를 대비한 정략적 측면이 다분히 내포돼 있다는 것이다. 

    실제 참정련 대표인 이광철 의원은 당시 “지금은 선거운동을 할 때이고 논의의 시기가 아니다”면서도 “선거가 끝나면 당연히 평가 내용과 함께 앞으로 방향에 대해 얘기가 나올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선거 이후 선거패배책임론을 놓고 당내 각 계파간의 갈등이 폭발 할 수밖에 없으리라는 전망을 내비친 셈이다. 당시 김 최고위원의 “당을 떠나라”는 발언을 놓고 당내에서는 선거운동 기간 중이라는 시기상의 문제를 지적하며 "해당 행위“라는 강한 비난이 쏟아졌지만, 오히려 이 발언을 통해 자연스런 당내 대결구도가 만들어지면서 선거 이후 주도권을 잡아가겠다는 의도가 처음부터 숨어있었던 게 아니냐는 것이다. 

    특히 정 의장과 참정련, 그리고 구 개혁당 그룹의 좌장격인 유시민 장관은 그간 기간당원제 문제, 당 정체성 문제 등을 놓고 노골적인 대립각을 세워왔던 만큼,  ‘함께 할 수 없다’는 인식이 팽배했던 것도 이런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에 더불어 일각에서는 김 최고위원이 정 의장을 치받기에 앞서 당내 개혁당그룹 계파의 좌장격인 유 장관과 사전에 의견조율을 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돌고 있다. 애초부터 이들 진영에서 정략적인 계산을 깔고 '발설'한 것이라는 애기다. 따라서 노무현 대통령의 의중이 드러나는 순간 이들을 중심으로 한 미니 정당 출현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유 의원은 노 대통령의 ‘복심’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노 대통령은 지난 대선에서 승리하자마자 제일 먼저 개혁당을 찾아 고마움을 표시하기도 했었다. 

    또한 최근 문재인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부산정권' 발언을 놓고 당내 '민주당통합론자'들과 영남권 인사들간의 갈등 양상도 이들의 '미니정당' 창당 가능성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여권 일각에서 포착되고 있는 '영남권 신당' 움직임과 이들의 움직임이 맞물릴 경우 신당 창당은 명분에서나 정체성 측면에서도 정당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정치권 안팎의 관측이다. 

    그러나 또 다른 일각에서는 “‘현재의 열린당으로는 안 된다’는 분위기가 팽배한 만큼 열린당의 '창조적 파괴' 뒤 신당이 출현할 가능성도 없진 않지만, 참정련의 당내 지분을 감안할 때 당을 뛰쳐나가기 보다는 당내에서 한바탕 전면전을 불사하겠다는 의지가 아니겠느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한편, 참정련은 내달 25일을 전후로 정기회원 총회를 통해 향후 활동방향 등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정계개편 문제 등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강경·개혁파로 분류되는 참정련은 이광철 강기정 김형주 유기홍 유시민 의원 등 13~15명이 소속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