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위, 비대위 인준안 온라인 투표… 찬성 92.7%, 반대 7.3%전당대회 룰 놓고 친명 vs 친문 대립… 비대위 우선 해결 과제집단지도체제 vs 단일지도체제 놓고도 친명 vs 친문 이견
  • ▲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강민석 기자
    ▲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강민석 기자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비상대책위원회가 10일 공식 출범했다. 6·1지방선거 참패로 박지현·윤호중 비상대책위원회가 해체된 지 8일 만이다.

    변재일 민주당 중앙위원회 의장은 이날 우상호 의원을 비대위원장으로 하는 '비대위원 구성 인준 및 추가 구성 권한 위임의 건'을 온라인 투표에 부친 결과, 총 투표자 452명 중 찬성 419명(92.7%), 반대 33명(7.3%)으로 해당 안이 의결됐다고 발표했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온라인 투표를 진행했다. 전체 중앙위원 625명 중 452명이 참여해, 투표율은 72.32%를 기록했다.

    새 비대위는 우상호 위원장을 비롯해 한정애(3선 대표)·박재호(재선 대표)·이용우(초선 대표) 의원과 김현정 원외위원장협의회장(원외 대표), 당연직인 박홍근 원내대표로 구성된다. 여성·청년 몫 비대위원 등 3명은 향후 비대위의 논의를 거쳐 지명할 예정이다.

    우 의원은 지난 7일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비대위원장으로 추대됐다. 당 내 중진급 의원으로서 비교적 중립적이고 안정감 있는 인사라는 평을 받았다.

    그러나 우 의원이 당 내에서 한창 퇴진론이 일었던 '86그룹' 정치인의 대표 격이었던 만큼 당 안팎에서 부정적 분위기도 형성됐다. 아울러 그가 과거 '새천년NHK 룸살롱' 사건에 연루된 점을 거론하며 비대위원장으로 부적절하다는 여론의 질타도 이어졌다.

    '전당대회 룰' 놓고 계파 간 신경전

    '우상호 비대위'는 오는 8월로 예정된 전당대회까지 당을 이끌게 된다. 6·1지방선거 참패에 따른 '이재명 책임론'으로 불거진 당 내 계파갈등을 어떻게 봉합할지가 관건이다. 

    이재명 의원의 당권 도전이 유력하게 점쳐지는 가운데, 친문(친문재인)계 의원들은 지속적으로 이 의원의 전당대회 출마가 부적절하다며 반발하는 모습이다. 

    비대위의 우선 과제는 전대 룰(Rule) 변경 여부다. 비대위 출범 전부터 전대 룰을 놓고 계파 간 신경전이 시작됐다. 

    현행 전대 투표 반영 비율은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국민 10%, 일반당원 5%로 규정돼 있다. 친명(친이재명)계에서는 대의원 표 반영 비율을 낮추고 권리당원 표 반영 비율을 높이자는 견해다. 

    그러면서 최소 6개월 전까지 입당한 권리당원에게 주어지는 투표권 제한을 3개월로 낮추자고 주장한다. 지난 3월 대선 이후 입당한 이 의원의 극성 지지층인 '개딸(개혁의 딸)'을 전대에 대거 참여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친명계 김남국 민주당 의원은 10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현 전대 규정은)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의 등가성 문제가 있다"며 "권리당원이 많이 들어올수록 권리당원 표 가치가 떨어지고 대의원 표 가치가 올라가는 문제가 발생하고, 민심과 당심의 괴리가 벌어진다는 점도 문제"라고 주장했다.

    친문계는 전대 룰 변경에 부정적이다. 친문계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홍영표 민주당 의원은 "지금 당도 어렵고 복잡한 상황에서 선거를 앞두고 룰을 바꾼다는 것은 당에 굉장한 진통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맞받아쳤다. 

    당 내 소신파로 꼽히는 조응천 민주당 의원은 친명계가 전대에서 권리당원 비중을 늘리자고 주장하는 것과 관련 "물(일반 국민)을 타야지, 지금 소금(권리당원) 더 넣을 때가 아니다"라며 일반 국민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집단지도체제 vs 단일지도체제… 또 다른 뇌관

    당 지도부 체제를 놓고도 계파 간 충돌 조짐이 보인다. 민주당 재선의원들은 9일 간담회를 갖고 당을 통합형 집단지도체제로 구성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들은 이후 비대위에 의견을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지금의 단일지도체제 하에서는 당 대표 선거와 최고위원 선거를 분리해 치른다. 집단지도체제는 당 대표 후보 중 1위가 대표직을 맡고, 득표 순서에 따라 최고위원이 결정된다. 

    친명계는 단일지도체제에서 이 의원이 당권을 쥐고 강력한 권한을 누리기를 바라는 눈치다. 반면 이 의원을 견제하는 친문계 등은 당 대표의 힘을 분산하는 집단지도체제를 선호하는 분위기다.    

    김남국 의원은 "순수 집단지도체제로 갔을 때 당 내 여러 계파 간 당장의 갈등은 막을 수는 있겠지만 상시적 갈등을 내재하게 만든다, 일명 봉숭아학당"이라고 반대 의견을 고수했다. 

    민주당 강경파이자 이 의원과 가까운 김용민 의원도 페이스북에 "전당대회 룰을 바꾸려면 권리당원 직선제로 가야지, 집단지도체제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우 의원은 9일 전대 룰 변경과 관련 "전대에 출마할 선수들이 합의하든가 아니면 당 내 구성원의 60~70% 이상이 동의하는 내용이 있을 때만 변경이 가능하다"고 일축하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