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친서' 푸틴에게 전달… 靑 "한반도 비핵화 역할에 지속적 협조 당부"
  • ▲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12월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재외공관장 초청 만찬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박수를 치고 있다. 왼쪽부터 우윤근 주러시아대사, 문 대통령, 노영민 주중국대사. ⓒ뉴시스
    ▲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12월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재외공관장 초청 만찬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박수를 치고 있다. 왼쪽부터 우윤근 주러시아대사, 문 대통령, 노영민 주중국대사.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우윤근 전 러시아대사를 대통령특사로 러시아에 파견한다. 우 특사는 최근 청와대 마지막 대통령비서실장 하마평에 오르내린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11일 "정부는 올해 한-러 수교 30주년을 기념하고 양국관계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우 전 대사를 대통령특사로 오는 13~19일 러시아에 파견한다"고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우 특사는 러시아 정부와 의회 등의 고위인사를 만나 양국 간 우호협력 증진을 위한 방안들을 협의할 예정이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전달할 문 대통령의 친서도 들고 가지만, 우한코로나(코로나19) 상황인 탓에 직접 면담할지는 미지수다.

    강 대변인은 "이번 방러를 계기로 지난 9월 정상 통화 후속조치 이행을 점검하고, 양국 간 고위급 인사교류 및 협의 채널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며 "한반도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러시아의 건설적 역할과 지속적인 협조를 당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우윤근 임명 시 '북-중-러 구도 참여' 분석

    문 대통령이 우 특사의 방러 이후 그를 비서실장으로 기용할 경우 전직 중국대사를 최측근으로 영전시킨 노영민 실장의 경우에 이어 전직 러시아대사를 영전시키는 그림이 그려진다. 이는 연속적 인사를 통해 중국·러시아에 보내는 친화적 메시지로 해석 가능하다.

    나아가 한국이 동북아 외교에서 전통적인 한-미-일 3각 안보협력구도보다 북-중-러 공산동맹을 중요시한다는 뜻으로 읽힐 수 있다. 

    문재인정부의 전직 미국·일본대사가 청와대로 영전한 경우는 없다. 문 대통령은 북한을 향해서는 남북경색 국면인 지난 7월 친북인사인 이인영 의원을 통일부장관으로 임명함으로써 '달래기'에 나선 바 있다.

    비서실장 교체설은 지난 8월부터 제기됐다. 청와대 내 다주택자인 고위참모들의 주택 처분을 두고 논란이 일자 노 실장은 당시 비서실 수석 5명과 함께 문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사표를 반려해 유임시켰고 지난 4일 장관 4명을 교체한 개각에서도 노 실장을 제외했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개각이 연내에 두 차례 있다고 예고한 만큼, 집권 후반기를 준비하기 위한 추가적인 청와대 개편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노 실장은 다음달 8일 임기 2년의 '장수 비서실장'이 된다. 

    측근을 비서실장에 기용하고 논란이 일어도 끝까지 신임을 보이는 문 대통령의 특성상 우 특사,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 이호철 전 민정수석비서관이 하마평에 올랐다.

    '2차 개각' 임박… 비서실장 교체 가능성

    이러한 상황에서 지난 7일 아시아경제가 여권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해 '김정숙 여사가 최근 우윤근 특사 아내를 만나 비서실장을 맡아달라고 설득했다'고 보도해 내정설이 확산했다. 이에 청와대는 당일 "전혀 사실이 아니다. 만남도 없었다"고 부인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대통령 지지율이 최근 최저치인 30%대를 기록한 만큼 대대적 참모진 개편으로 분위기를 쇄신해야 할 필요를 느끼게 됐다. 문 대통령은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 절차가 끝나는 대로 국면전환용 추가 개각을 단행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비서실장으로 대구·경북(TK) 대표성을 지닌 김부겸 전 행정안전부장관과 여성인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도 후보군으로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