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 “NSA와 DIA 등, 바이든 인수위 접촉 거부” 국방부 “사소한 절차상 문제”
  • ▲ 미국 국방부 산하 정보기관들. 미국 전체 정보기관의 절반이다. ⓒ위키피디아 공개사진-핀인터레스트 캡쳐.
    ▲ 미국 국방부 산하 정보기관들. 미국 전체 정보기관의 절반이다. ⓒ위키피디아 공개사진-핀인터레스트 캡쳐.
    미군 정보기관들이 조 바이든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 측이 요구한 접촉을 차단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5일(이하 현지시간) 익명의 전현직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미국 국방부는 “사소한 절차상의 문제로 내주 중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인수위 “미군 정보기관, 의도적으로 접촉 승인 안 내줘”

    “지난 11월 23일 연방총무처(GSA)가 바이든 당선인 측에 연방정부 부처들과 접촉할 수 있도록 허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안보국(NSA)과 국방정보국(DIA)을 비롯한 국방부 산하 정보기관들은 접촉을 거부하거나 승인을 하지 않았다”고 신문은 전했다. 신문은 “미군 정보기관의 접촉 불허는 러시아, 중국, 이란 등 적성국의 간첩 활동에 대처해야 하는 바이든 인수위의 역량에 흠집을 냈다”는 전현직 정부 관계자의 주장도 전했다.

    미국 국방부는 이 같은 주장을 일축했다. 수 고프 국방부 대변인은 “바이든 인수위 측의 어떤 접근도 거부되지 않았다”며 “그들이 요청한 정보기관 수뇌부와의 접촉은 이르면 내주 중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국방부 관계자들 또한 “외부인(바이든 인수위 측)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들은 바이든 인수위 측이 군 정보기관과 접촉하지 못한 이유가 사소한 절차상 문제 때문이라고 했지만 인수위 측 관계자에 따르면 이미 보낸 정보를 반복적으로 요구하는 등 의도적인 접촉 거부 정황도 있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방부가 접촉을 거부하던 때 바이든 인수위 측은 중앙정보국(CIA)이나 국가정보장실(DNI)과는 활발히 접촉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트럼프 정부, 군 지휘부에 정보기관·특수작전 전문가 배치

    트럼프 정부는 지난 11월 10일 마크 애스퍼 국방장관을 경질하고, 크리스토퍼 밀러 국가대테러센터장을 장관에 임명했다. 밀러 장관 대행은 미군 정보기관과 특수부대의 비밀공작을 총괄 지휘하던 사람이었다. 밀러 장관 대행은 취임 직후 “특수부대와 군 정보기관은 기존 보고라인을 거치지 말고 내게 직접 보고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튿날 트럼프 정부는 해군정보국(ONI)과 국방정보국(DIA)에서 일했고,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첩보 프로그램 선임국장을 지낸 에즈라 코헨-와트닉을 국방부 정보담당 차관에 임명했다. 지난 2일에는 제임스 에이브럼스 장군의 후임으로 태평양 육군사령관 폴 라카메라 대장을 내정했다. 폴 라카메라 대장은 1985년 임관한 뒤 레인저 교육여단, 제75레인저연대 제1대대와 3대대 지휘관, 통합특수전사령부(JSOC) 작전국장과 부사령관을 거쳐, ‘내재적 결단 작전(Operation Inherent Resolve)’을 담당하는 통합특수임무부대(CJTF) 사령관을 맡아 중동 테러조직 ISIS를 소탕했다.

    이처럼 트럼프 정부가 군 정보기관과 특수부대 전문가들을 전면에 배치하자 다양한 추측이 나오고 있다. 16개의 미국 연방정보기관 가운데 NSA와 DIA, 육군군사정보국(MI), 해군정보국(ONI), 공군정보감시정찰국(AFISRA), 해병정보국(MCI), 국가지형정보국(NGA), 국가정찰국(NRO) 등 절반이 국방부 산하에 있다. 특히 사이버전이나 비밀공작, 직접타격(DA) 역량은 거의 대부분 미군 정보기관이 거느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