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조원 이호승 여현호 박진규 조성재 윤성원 강민석 수도권 2채… 노영민 황덕순 김외숙 김거성 등은 전국 다주택
  • ▲ 청와대 본관. ⓒ뉴데일리DB
    ▲ 청와대 본관. ⓒ뉴데일리DB
    노영민 대통령비서실장이 지난해 '12·16부동산대책'에 맞춰 "수도권에 2채 이상 집을 보유한 청와대 참모들은 1채만 남기고 처분하라"고 권고했지만, 대부분 이를 따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윤도한 국민소통수석은 "(매도) 시한은 6개월 정도로 본다"고 했다. 그러자 "민간 다주택자는 투기꾼으로 몰면서 고위공직자들부터 솔선수범하지 않는 것은 모순된 행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집을 처분하라고 권고한 노 실장 자신도 수도권 2채는 아니지만 수도권 1채와 지방 1채 등을 보유한 다주택자다. 이 때문에 노 실장이 집 처분 기준을 '수도권 2채'로 제한한 것은 '셀프 열외'라는 지적도 나왔다. 

    靑 참모 65명 중 12명이 다주택자

    30일 정부 관보에 따르면 청와대 비서관급 이상 참모 65명 가운데 2주택 이상 보유자는 현재 여전히 12명(18.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 실장의 권고를 지키지 않은 '수도권 내 다주택자'는 7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김조원 민정수석, 이호승 경제수석, 여현호 국정홍보비서관, 박진규 신남방·신북방비서관, 조성재 고용노동비서관, 윤성원 국토교통비서관 등이 여전히 다주택을 유지했다. 권고 이후 청와대에 입성한 강민석 대변인도 서울에 두 채의 아파트가 있다.

    김조원 수석은 서울 강남구 도곡동과 송파구 잠실동에 아파트 두 채를 보유했다. 조성재 비서관 역시 서울 송파구와 세종시에 각각 아파트를 보유 중이다. 노 실장은 주택 처분 권고에 앞서 '불가피한 사유'라는 단서를 달았지만, 김 수석과 조 비서관은 이와 관련 입을 닫은 상태다.

    집 팔라던 노영민, 서울 반포·충북 청주에 아파트 2채

    수도권은 아니지만 전국 단위로 다주택 상황을 유지하는 청와대 참모는 5명이다. 노 실장은 서울 서초구 반포동과 수도권 외 지역인 충북 청주시 흥덕구에 각각 아파트를 신고했다. 황덕순 일자리수석은 충북 청주에만 두 채의 아파트와 한 채의 단독주택을 보유한 3주택자다. 

    김외숙 인사수석은 부산 해운대구의 아파트를, 배우자는 경기도 오산시의 아파트를 각각 보유했다. 김거성 시민사회수석은 서울 은평구 다세대주택과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의 아파트 등 2채를 소유했다. 다만 지난해 부인 명의의 교문동 다른 아파트를 매각해 2주택자가 됐다. 석종훈 중소벤처비서관은 공동으로 상속받은 은평구 아파트와 함께 제주도에 분양권을 받은 오피스텔 4개를 보유했다. 

    다주택자였지만 청와대 권고에 따라 1주택자로 전환한 공직자는 4명뿐이다. 김연명 사회수석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와 덕양구에 아파트 2채를 갖고 있었으나 덕양구 아파트를 처분했다. 김광진 정무비서관도 서울 서초구 방배동 아파트를 판 상태다. 

    노규덕 안보전략비서관은 형제들과 공동으로 상속받은 경기도 고양시 주엽동 아파트를 매각했고, 노 실장 권고 이후 비서관으로 승진한 한정우 홍보기획비서관도 최근 보유했던 2주택을 모두 매각 및 매매계약해 무주택자가 될 예정이다.

    "대통령 말에 충심 보이더니, 부동산은 예외"

    청와대 참모진의 이 같은 행태에 야당에서는 날을 세웠다. 황규환 미래통합당 부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정책과 현안에서는 대통령 말 한마디에 그렇게나 일사분란하게 움직이고 충심을 보여왔던 청와대 참모진이 그러나 자신들의 부동산 지키기에만은 예외였던 것"이라며 "공직은 유한하지만 부동산은 무한하다는 비아냥이 나오는 마당"이라고 꼬집었다.

    황 부대변인은 "한 채 가지고 있는 사람은 투기꾼으로 몰아세웠고, 청년들에게는 온갖 대출규제로 집을 사지 못하게 했던 이 정권"이라며 "자신들은 이미 다주택자가 되어서는 서민들의 내집마련을 위한 희망사다리를 걷어차는 행동을 해서야 되겠는가"라고 비판했다.

    노무현 정부에서 청와대 홍보수석을 지낸 조기숙 이화여대 교수도 전날 밤 페이스북에서 "지지도가 높으면 정책적 실수에 대해 관대하게 되고 참모들도 헤이해져서 다 잘하고 있는 걸로 착각할 수 있다"며 "국민이 실험 대상도 아니고 아무리 대책을 내놔도 먹히지 않으면 다양한 의견을 청취해서 정책에 변화를 가져오는 게 당연한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