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한중 '투트랙' 외교 시동… 청와대 "중국, 반발 않고 있다" 장밋빛 전망
  • ▲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청와대 관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하고 있다. ⓒ뉴시스
    ▲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청와대 관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정부가 하반기 미국이 주도하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을 동시에 추진하는 등 외교에 적극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하지만 한국의 전략과 무관하게 미국과 중국이 각각 한국을 '포섭'하기 위해 적극적인 행보에 나서 무리수에 그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문 대통령은 1일 저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통화에서 "금년도 G7 정상회의 주최국으로서 한국을 초청해주신 것을 환영하고 감사드린다"며 "나는 트럼프 대통령님의 초청에 기꺼이 응할 것이며, 방역과 경제 양면에서 한국이 할 수 있는 역할을 다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G7이 낡은 체제로서 현재의 국제정세를 반영하지 못한다"면서 "이를 G11이나 G12 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한 대목에서는 명확한 세계질서 재편 의지가 드러난다. G2 국가인 중국을 노골적으로 배제하면서 중국의 인접국이자 전통적 동맹국들과 머리를 맞대고 중국 문제를 논의해보겠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도 통화에서 "(현재의) 주요 7개국(G7) 체제는 전 세계적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책을 찾는 데 한계가 있다"고 의견을 같이했다.

    한·중관계 흔들릴 우려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 자체가 사실상 '중국 견제'를 위한 정치적 포석과 맞물려 한중관계가 틀어질 수 있다는 점은 우려의 대상이다. 당장 시진핑 국가주석의 연내 방한 문제가 안갯속으로 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G7체제 변화에 따른 기존 강대국들의 인식도 변수다. 러시아의 참여를 놓고 영국이 공개적으로 반대 견해를 표명한 것도 눈여겨볼 부분이다. 일본 산케이신문은 외무성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정상회의 멤버를 갑자기 4개국 더 늘리는 건 무리"라고 보도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이번 문 대통령 결정의 긍정적 면만 부각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2일 중국이 반발하리라는 관측에 "한미 정상 통화에서 중국과 관련한 언급이 일절 없었다. 중국도 아직 반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한국의 회의 참여는)우리가 세계질서를 이끄는 리더국 중 하나가 된다는 의미"라며 "G11, G12 정식 멤버가 될 경우 국격 상승과 국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