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MP, 중국 후난성 연구팀 연구 보도…“그렇다면 왜 바로 앞 사람은 감염 안 됐나” 반박도
  • ▲ 중국 내 버스감염 상황을 설명하는 그래픽. ⓒTV조선 관련보도 캡쳐.
    ▲ 중국 내 버스감염 상황을 설명하는 그래픽. ⓒTV조선 관련보도 캡쳐.
    우한폐렴을 일으키는 중국 코로나 바이러스가 버스와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는 최대 4.5미터 바깥에 있는 사람도 감염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그러나 반박도 만만치 않다. 한편 한국 연구진은 중국 코로나 바이러스가 인공적인 것인지 검증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중국 후난성 역학팀 “밀폐된 난방 버스서는 4.5미터 밖 사람도 감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지난 9일 중국 후난성 질병관리센터의 역학 연구팀이 내놓은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후난성 역학 연구팀은 지난 1월 22일 고속버스 내부에서 우한폐렴이 전파되는 과정을 담은 CCTV 영상을 조사했다고 밝혔다.

    버스는 48인승 장거리 여객버스였다. 첫 전파자는 버스 맨뒤에서 두 번째 자리에 앉았다. 그는 증상이 있었지만 중국 정부가 위기 상황이라고 선언하기 전이라 별 생각 없이 마스크를 쓰지 않았다. 그가 버스를 타고 목적지까지 가는데 걸린 시간은 2시간 남짓이었다. 그동안 첫 전파자는 다른 승객이나 운전사와 대화를 나누지 않았다.

    이후 조사 결과 그는 버스 승객 가운데 8명을 감염시켰다. 그 중에는 4.5미터 떨어진 곳(6칸 앞쪽 좌석)에 앉은 2명도 포함됐다. 첫 전파자가 목적지에서 내리고 30분 뒤 새로 버스에 탑승한 승객도 감염됐다.

    그동안 바이러스를 옮기는 비말(飛沫)은 최대 2미터를 날아갈 수 있다는 것이 의료계 상식이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그동안 “1.8미터 정도만 떨어져 있으면 안전하다”고 알렸다. 바이러스는 공기 중에 나오면 몇 분 이내에 사멸한다는 것도 상식이었다.

    그러나 버스 사례를 보면 우한폐렴 바이러스는 그보다 먼 거리까지 도달했으며, 숙주에게서 나온 지 30분이 지나도 죽지 않았다는 것이 연구팀의 주장이었다. 연구팀은 “버스는 당시 완전히 밀폐된 데다 난방 장치까지 가동하고 있었다”면서 “난방으로 인해 뜨거운 공기가 상승하면서 비말이 더 먼 곳까지 운반된 것 같다”고 추정했다.
  • ▲ 한국 연구진은 우한폐렴 바이러스의 인공조작설을 검증하고자 했으나 비교 표본 부족으로 결국 실패했다. ⓒYTN 사이언스 관련보도 캡쳐.
    ▲ 한국 연구진은 우한폐렴 바이러스의 인공조작설을 검증하고자 했으나 비교 표본 부족으로 결국 실패했다. ⓒYTN 사이언스 관련보도 캡쳐.
    그러나 반론도 제기됐다. “첫 전파자의 바로 앞에 앉았던 승객들이야말로 비말에 가장 많이 노출됐을 텐데 감염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중국 의료계에서 나왔다고 신문은 전했다.

    국내 연구진 “2015년 미중 제작 바이러스와 우한폐렴 바이러스 다르다”

    한편 국내의 한 연구진이 중국 코로나 바이러스가 진짜 인공적으로 만든 것인지를 검증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비교할 수 있는 바이러스 종류가 너무 적어서였다.

    연구진은 2015년 11월 랄프 바릭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역학과 교수와 시젠리 중국 우한바이러스 연구소 특수병원균 및 생물안전연구실 연구원이 공동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변종을 만들었던 프로젝트 내용을 토대로 연구를 시작했다고 YTN 사이언스가 전했다.

    당시 공개됐던 변종 코로나 바이러스 ‘SHC014’와 현재 유행 중인 중국 코로나 바이러스 유전자를 비교한 결과 유전자 일치율은 82.07%였다. 사실상 다른 바이러스였다.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가 공개한 ‘WIV1’이라는 바이러스도 비교했지만 일치율은 82.14%에 불과했다.

    “하지만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가 얼마나 많은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지 모른다는 점에서 검증 자체가 불가능하다”면서 중국이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의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만 음모론을 없앨 수 있다고 YTN 사이언스는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