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내대표 경선 밀리면 김무성 탈당할 듯… 정병국은 '당내투쟁'에 무게
  • ▲ 새누리당 정병국 의원(사진)은 14일 KBS라디오에 출연해,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비박계 내부에서 의견 대립을 하고 있다는 시각을 부인하고 해명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 새누리당 정병국 의원(사진)은 14일 KBS라디오에 출연해,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비박계 내부에서 의견 대립을 하고 있다는 시각을 부인하고 해명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새누리당 5선 중진 정병국 의원이 비박계의 중핵인 김무성 전 대표최고위원과 유승민 전 원내대표 사이에 탈당과 신당 창당을 놓고 의견 대립이 있다는 시중의 관측을 부인했다.

    정병국 의원은 14일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에 출연해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견해는) 근본적으로 다른 게 아니라 (탈당의) 시기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이라며 "유승민 의원은 원내대표 경선에 나가서 투쟁을 해보고 비대위 구성할 때도 한 번 더 싸워보고 그래도 안 된다면 마지막 카드로 그것(탈당)을 해야 된다는 것인 반면 김무성 전 대표는 시간이 없으니 시한을 정해놓자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비박계 내부가 나뉘어져 있다는 시각은) 전혀 잘못 보고 있는 것"이라며 "어제(13일) 비상시국회의에서 김무성 대표가 (신당 고민의) 취지를 설명했고, 유승민 의원도 동의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뜻은 하나"라고 강조했다.

    앞서 일부 매체는 13일자 조간에서 김무성 전 대표가 신당 창당 준비를 마쳤으며, 이르면 다가오는 주말이나 내주 중으로 탈당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아울러 김무성 전 대표는 유승민 전 원내대표에게도 동반 탈당과 함께 신당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아달라고 제안했으나,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답을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서는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내용의 일부를 부인했다. 김무성 전 대표는 "맞는 내용도 있고, 전혀 사실과 다른 내용도 있다"며 "신당을 만들어야 한다는 심각한 고민은 하고 있으나, 유승민 대표에게 개인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이야기한 적은 없다"고 해명했다.

    유승민 전 원내대표도 전날 취재진과 만나 "(김무성 전 대표로부터) 탈당과 관련해 그 어떤 제안도 들은 바가 없다"며 "내 입장은 여전히 탈당은 마지막 카드라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다른 듯 하면서도 유사한 맥락이 엿보이고, 비슷한 듯 하면서도 각론에 있어서는 여전히 다르다. 이에 대해 정병국 의원이 "김무성 전 대표도 지금 당장 (당을) 나가겠다는 것은 아니었는데 모 신문에 곧 나갈 것 같이 비쳐지면서 그걸 해명한 것"이라며 "(김무성 전 대표나 유승민 전 원내대표 모두) 그것은 마지막 카드로, 지금 당장 실행한다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라고 부연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의 연장선상에서 정병국 의원도 이날 탈당과 신당 창당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으면서도, 이것이 '마지막 카드'라는 '공식 입장'을 반복했다.

    정병국 의원은 "새누리당의 물적·인적 청산을 해야 된다고 보는데, 당 지도부가 뭉개고 나가지 않는다고 하면 언제까지 그냥 기다릴 수는 없지 않느냐"며 "탄핵 시계는 째깍째깍 가고 있고, 그게 끝나면 선거를 치러야 하는데, 건전한 보수 세력이 선거를 치를 수 있는 판을 만들어야 할 것이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러한 측면에서 "당을 해체하지 못한다면 막판에 가서는 우리 (비박계)가 나가서 새로운 집을 집어야 되지 않느냐(는 생각)"이라면서도 "그러한 것은 마지막 카드"라고 강조했다.

  • ▲ 새누리당 비박계의 두 중핵인 김무성 전 대표최고위원과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탈당과 신당 창당과 관련해 의견 대립을 겪고 있다는 시각이 정치권 안팎에 파다하다. 이에 대해 정병국 의원은 근본적인 차이가 아니라 시점에 대해 일부 이견이 있었지만 뜻은 하나라고 해명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 새누리당 비박계의 두 중핵인 김무성 전 대표최고위원과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탈당과 신당 창당과 관련해 의견 대립을 겪고 있다는 시각이 정치권 안팎에 파다하다. 이에 대해 정병국 의원은 근본적인 차이가 아니라 시점에 대해 일부 이견이 있었지만 뜻은 하나라고 해명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이처럼 정병국 의원이 '탈당은 마지막 카드'라는 '공식 입장'을 천명하며 비박계 내의 의견 대립은 없다는 것을 극구 해명했지만, 새누리당의 내홍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향후 몇 차례의 고비를 넘게 될 때마다 '탈당의 시점'을 둘러싼 논란이 커져가는 것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오는 16일 치러질 원내대표 경선에서 친박계가 원내지도부를 장악한다면 어떻게 되는가, 그 때는 나갈 것인가 라는 문제가 생긴다. 또, 오는 21일 이정현 대표가 물러나고 조원진 수석최고위원 등 친박계 지도부 잔당(殘黨)이 일방통행식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려면 하면 그 때에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도 문제다.

    이 때마다 김무성 전 대표가 "이제는 더 이상 참을 수도 없고, 참아서도 안 된다"며 탈당과 신당 창당을 주장하고,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끝까지 싸워보자"라고 맞선다면, 그 '끝'이 어디인지 불분명한 이상 논란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당장 정병국 의원도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설령 오는 16일 친박계 원내대표가 선출되더라도, 다른 방식으로 당내 투쟁을 이어갈 뿐 당장 탈당이나 신당 창당을 결행하지는 않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정병국 의원은 "소위 친박계가 일요일에 50여 명이 모였다고 들었는데 어제 (혁신과 통합 보수연합 출범식에)는 35명 왔다"며 "일요일에 모였던 50여 명 중에서도 '어쩔 수 없이 갔다' '그런 모임인 줄 모르고 갔다'는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이 있고, 자신의 명단을 빼달라는 요구를 한 사람도 있다"고 조소했다.

    친박계 계파 모임인 '혁신과 통합 보수연합(구당 모임)'이 출범하기조차 전에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명단에서 내 이름을 빼달라"고 요구해 삐꺽거리고, 전날 출범식에는 애당초의 기세와는 전혀 딴판으로 현역 의원이 35명(집계에 따라서는 37명) 오는데 그치고, 심지어 공동대표로 선임된 정갑윤 전 국회부의장조차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것을 비꼰 것이다.

    정병국 의원은 "무너져내리는, 폐족이나 마찬가지인, 당연히 정계를 은퇴해야 될 분들의 그런 모임에 (누가) 참여하고 싶겠느냐"며 "친박의 의도대로 (원내대표 경선이)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도 정병국 의원은 설령 원내대표 경선에서 밀리더라도 별도 원내지도부 선출 등 '당내 투쟁'을 지속할 뜻을 밝혔다. 오는 16일 원내대표 경선에서 비박계가 패배할 경우, 탈당이 이어지면서 신당 창당이 현실로 성큼 다가올 것이라는 시각과는 다른 입장이라는 해석이다.

    정병국 의원은 "(친박계 원내대표가 선출되면) 당으로서 아무런 역할을 못하게 될테니, 우리 (비박계)가 그 사람들(친박계)을 무시하면 된다"며 "야당도 친박 원내대표가 서면 상대를 하지 않겠다고 하니, 친박계를 뺀 나머지가 중심이 돼서 나름대로의 원내대표를 구성하고 야당과 함께 정국을 이끌어가는 것도 고려해볼 상황"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