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어떤 잔해물도 발견하지 못해”수색 면적 넓고, 민간 어선 부르면 비용 130억
  • 국방부가 지난 13일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 잔해 수색을 내일까지만 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16일 “지난 4월 13일 北장거리 미사일 잔해물의 서해 낙하 이후 실시하고 있는 탐색 및 인양작전을 17일 오후 5시부로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잔해물 예상 낙하지점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 잔해가 바다에 떨어질 때 산산조각이 났으리라는 점, 잔해 추락지점의 수심이 깊다는 점과 장기간 수색작전을 펼칠 경우에는 전력 공백이 생길 수 있다는 이유로 작전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방부에 따르면 세종대왕함이 추적한 20여 개의 미사일 잔해가 떨어진 좌표는 갖고 있지만 각 잔해가 추락한 지점이 각각 5.5㎞×5.5㎞에 달해 정확한 낙하지점을 찾기 어렵다고 한다.

    또한 공중에서 추락한 미사일 잔해가 수면에 부딪힐 때 충격으로 산산조각 났을 가능성이 높은 점도 문제라고 설명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17조각으로 분리된 파편은 마하 1.0 내외의 속도로 바다에 떨어졌다고 한다. 3조각으로 분리된 파편도 고도 26.4㎞에서 마하 4.4의 속도로 낙하했다. 수면에 부딪힐 때의 속도는 마하 2.0~2.4 가량. 초속 700m 가량의 속도로 공기 밀도의 800배인 물에 부딪히면서 산산조각이 났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잔해가 추락한 서해 지점의 수심이 70~80미터라는 점도 문제다. 게다가 추락지점의 조류가 빨라 잔해들이 흘러갔을 가능성도 있고, 뻘 속에 파묻혔을 경우에는 찾기가 어렵다는 점도 이유로 들었다.

    더 이상 탐색 및 인양작전을 펼칠 경우 막대한 비용이 든다는 점도 문제라고 했다. 과거 천안함 폭침 때처럼 민간의 쌍끌이 어선을 활용할 경우에는 17조각이 낙하한 구역에만 약 30억 원이 소요된다고 한다. 잔해 전체가 떨어진 지역을 수색할 경우에는 약 130억 원이 추가로 든다고 국방부는 밝혔다.

    지난 2010년 천안함 인양 후 민간 쌍끌이 어선을 동원한 이유는 천안함의 침몰위치를 비교적 정확히 알았고, 희생된 장병들을 위해서라도 대내외적으로 명확한 원인 규명이 필요했기 때문이라며 그 때와는 상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또한 국방부는 “해군 전력이 (북한 미사일 잔해의) 탐색, 인양 작전에 장기간 투입될 경우 기존 작전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꽃게 성어기 등 취약시기에 적 도발에 대비한 군사대비태세 유지에 전념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그동안 해·공군의 함정, 항공기 등을 투입해 잔해물 예상 낙하해역에서 탐색 및 인양작전을 하였으나, 현재까지 어떠한 잔해물도 발견하거나 인양하지는 못했다”며 향후 북한 핵실험 등 이어질 도발징후에 대비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