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침묵의 暗室(암실)에서 보낸 나의 空軍 생활 
      
     군대야말로 사나이다운 사나이, 여성다운 여성, 한국인다운 한국인을 찍어내는 가장 고귀한 생산 현장이 아니겠는가.
    趙甲濟   
     
     軍 복무를 한 이들은 오늘처럼 추워지면 高地에서 고생하는 군인들을 생각한다. 고생한 사람이 고생하는 사람의 고생을 알아보는 모양이다. 오늘 인터넷 세상엔 그런 이야기가 많이 올라 왔다.
     
     나는 1967년 3월1일 공군에 자원 입대해 3년4개월간 요격관제 특기병으로 근무한 뒤 건강한 몸으로, 자랑스러운 공군 병장으로 轉役했다. 1970년 6월30일 대전에서 부산으로 열차를 타고 귀향길에 올랐을 때 내 心身은 부산에서 대전으로 갈 때보다 더욱 강건하게 돼 있었다. 내 가슴은 대한민국 국민의 의무를 다했다는 자부심과 몸 성히 돌아오도록 도와주신 분들에 대한 감사의 마음으로 차 있었다.
     
      나는 兵士 161기로 입대한 뒤 대전에서 훈련을 받던 중 결핵성 늑막염에 걸려 40일간 입원 치료를 받고 163기와 함께 항공병학교를 졸업했다. 입대 기준으로는 161기, 졸업 기준으로는 163기란 正體性의 혼란을 줄곧 겪어야 했다.
     
      동해안의 레이더 사이트에 배치된 다음부터 군번과 轉役 예정 연월일을 기준으로 '나는 163기가 아니라 161기이다. 그러니 162기는 비록 나보다 먼저 훈련소를 수료하고 이 부대에도 먼저 배치됐으나 내 부하이다' 는 입장을 취했다.
     
      처음에는 말을 서로 놓던 163기가 반발했고 162기들은 어이 없어했으나 주먹다짐도 해가면서 내가 찾아 먹어야 할 몫은 찾아 먹게 됐다. 161기 동기생들이 나를 밀어주었기 때문에 정체성 회복이 가능했던 것은 물론이다. 역시 동기생은 많고 보는 것이었다.
     
      나는 군대에서 많은 것을 배웠고 그 덕을 기자 생활 때 봤다. 요격관제병은 관제사가 전투기를 관제할 때 그 옆에서 手動 컴퓨터로 비행기의 속도·고도·방향 등을 계산해 보좌해주는 조수이다. 이때 얻은 비행기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나는 기자 생활을 하면서 대한항공 007편 피격 사건 등 항공 사고를 많이 취재할 수 있었다.
     
      우리 부대는 美 공군과 합동 근무를 하면서 비행기 識別 업무를 위해 일본 자위대와도 연락 관계를 유지했다. 이런 환경 속에서 나는 영어·日語 회화를 실습할 수 있었고 지금껏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내 상관 한 분은 야간 근무를 할 때 하늘이 조용하면 육법全書를 펴놓고 考試 공부를 했다. 그분은 지금 대구에서 유명한 변호사가 돼 있다. 우리 부대는 절간 같은 山頂의 고독한 사이트 내 침묵의 암실에서 근무한 관계로 학구적이었다.
     
      유일한 낙이 있었는데 저녁 먹고 내무반에서 영화 상영을 할 때였다. 영어를 좀 한다고 나는 매일 미군 부대에 가서 영화 필름을 빌려 오는 역할을 맡았다. 1년에 300편 정도는 봤으리라. 영화를 많이 본 이력도 요사이는 대화의 중요 반찬으로 살아 있다. 휴가 갈 때 상관들의 연애편지 심부름도 많이 했다. 그것이 계기가 돼 부산의 軍 병원에 근무하던 간호장교를 알게 됐다.
     
      눈이 많이 와서 찻길이 끊어지는 바람에 예정된 4박 5일 휴가가 취소돼 내무반에서 시간을 죽이고 있을 때 나는 이 간호장교에게 단편소설 분량의 편지를 써서 소포로 부쳤다. 언제 답장이 올까 하고 가슴을 졸이고 기다리는데 한 달쯤 지나서 그것이 왔다. 엽서 한 장이었는데 '잘받았습니다'가 다였다. 답장이 아니라 접수증이었다. 공군 병사와 간호장교 사이의 연애는 성사 되지 않았지만 이때 연습해둔 긴 글 쓰기는 나의 거의 유일한 자산이 되고 있다.
     
      요격관제병이 맨 처음하는 일은 플라팅(plotting)이다. 비행기 항적을 플라스틱 게시판에 그려 넣는 일이다. 플라터(plotter)는 게시판 뒤에서 리시버를 끼고 있다가 레이더 관측병이 불러주는 좌표를 찍으면서 비행기가 날고 있는 자취를 그려 넣으니 글자는 거꾸로 써야 한다. 글자 거꾸로 빨리 쓰기가 기네스북에 오른다면 내 이름은 上位에 있을 것이다.
     
      남자들 모임에 나가서 한 30분간 대화를 나누다 보면 누가 군대에 갔고 누가 가지 않았나 하는 것을 거의 80% 확률로 맞힐 자신이 있다. 대화 방식, 사람을 대하는 태도 등 분위기가 서로 다른 것이다. 군대에 갔다 온 사람은 언동이 신중하고 조직에 잘 적응하며 참을성이 많고 뭔가 강인한 느낌을 준다. 가장 감수성이 예민할 때 3년여 기간을 군대에서 보냈다는 것이 한 인간의 모습에 지울 수 없는 자취를 남기는 것이다.
     
      군대는 소비 집단이라고 하지만 나의 경험에 따르면 생산 집단이다. 人生 항로에서 逆境(역경)에 처했을 때 군대에서 고생한 것을 상기하면 저절로 투지가 되살아나도록 하는 힘, 그것을 만들어내는 재학생 70만 명의 대학, 즉 군대야말로 사나이다운 사나이, 여성다운 여성, 한국인다운 한국인을 찍어내는 가장 고귀한 생산 현장이 아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