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연합뉴스) = 백주현 외교통상부 재외동포영사국장이 서울 도렴동 외교통상부청사에서 기자 브리핑을 하고 있다.ⓒ
    ▲ (서울=연합뉴스) = 백주현 외교통상부 재외동포영사국장이 서울 도렴동 외교통상부청사에서 기자 브리핑을 하고 있다.ⓒ
    현직 외교관이 러시아와의 수교(1990년 9월) 직후인 1993년에 이미 한반도 에너지공급원으로 러시아의 가스관에 주목한 논문을 작성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화제가 되고 있다.

    9일 외교부에 따르면 백주현 재외동포영사국장은 주러시아 한국대사관에 근무하던 1993년 6월 러시아 연방 외교아카데미에서 `한국의 재통일 문제와 한반도 정세 안정에 있어서 러시아의 역할'을 제목으로 박사학위 논문을 작성했다.

    백 국장은 논문에서 "러시아는 동부시베리아의 미탐사 석유, 가스전 개발을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일본과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러시아는 주변국과의 관계개선으로 가스전 개발 등에 유리한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특히 "러시아는 한국의 국제화된 경제 체제, 고도 산업기술에 매력을 느끼고 있어 한ㆍ러 간 에너지 분야에서 상호보완적 협력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러시아의 가스전을 개발해 중국과 북한을 거쳐 우리나라까지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는 계획에도 이미 합의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이어 "한반도가 재통일 되면 러시아는 통일 한국의 주요 에너지 공급국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러시아의 한ㆍ러 관계 회복과 대일 관계 개선은 단순히 동부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개발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극동지역의 경제ㆍ사회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이는 러시아가 극동지역 개발과 외교적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두 가지 목적에서 석유ㆍ가스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러시아의 이런 정책이 한반도 에너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란 내용으로 가스관 사업에 대한 최근 분석과 대동소이하다.

    1990∼1993년, 2004∼2006년 러시아에서 근무한 백 국장은 1993년 당시와 현재의 가스관 사업을 비교하면서 "당시 러시아는 개발을 위해 주변국 투자를 필요로 했으나 지금은 안정적인 고객을 확보하려는 목적이 더 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스관의 북한 통과에 따른 위험 문제는 안정적인 고객을 확보하고자 하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협상으로 벌칙 조항 등을 통해 해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기술적인 부분은 더 봐야겠지만 가스관 사업 자체는 20년이나 된 이슈이기 때문에 현재도 빠른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