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소식통은 18일 "북한에는 총 6개의 정치범수용소가 있으며, 15만4천여명이 수감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소식통은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는 과거 10개까지 운영됐던 적도 있지만 1980년대 말에서 1990년대 초 국제인권단체들의 활발한 문제제기와 실태조사 요구로 북한이 국경 인근지역의 수용소들을 일부 폐쇄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말했다.

    소식통은 북한의 정치범수용소로 평안남도 개천(14호관리소).북창(18호관리소) 수용소와 함경남도 요덕(15호관리소) 수용소, 함경북도의 화성(16호관리소).청진(25호관리소).회령(22호관리소) 등 6개를 꼽았다.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이 올해 김정은으로의 후계체제 구축 과정에서 정치범수용소를 통한 주민 통제 기능이 한층 강화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앞서 국가인권위도 지난해 1월 북한은 6곳은 정치범수용소를 운영 중이며, 수감자는 약 2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는 종신수감되는 '완전 통제구역'과 희박하나마 석방될 가능성이 존재하는 '혁명화 구역'으로 구분되지만 열악한 여건과 인권유린 상황은 비슷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북한은 수용소 존재 자체를 부인하고 있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의 정치범수용소와 인권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국제사면위원회(AI)는 올해 북한 정치범 수용소 문제를 중점 조사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수감자 유형과 신원을 파악 중이며 정치범 수용소는 물론 교화소, 노동단련대 등 북한 내 수감시설 전반의 운영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과 캐나다 하원도 북한 인권개선을 위한 여론조성과 정책수립을 위해 북한 정치범 수용소 출신 탈북자를 초청해 오는 2~3월 북한인권 청문회를 개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과 유럽연합(EU)도 의회 차원에서 올해 하반기 정치범 수용소를 비롯한 북한 내 인권유린 실태를 폭로하는 청문회 개최를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미국의 북한인권위원회(HRNK)와 영국 세계기독연대(CSW) 등 국제 인권단체들도 상반기 북한 정치범 수용소 관련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 북한의 인권개선을 촉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