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전 사령관 "中 참전하면 中경제 100년 전 후퇴""北 추가도발시 무력보복만이 해법..북 핵무기 사용 가능성"
  • 버웰 벨(63) 전 주한미군사령관은 3일 "북한의 도발을 응징하기 위해서는 6자 회담은 의미가 없다"며 "북한 외 6자회담 참여국들은 북한에 대한 봉쇄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벨 전 사령관은 이날 아침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한국국제교류재단(이사장 김병국) 초청 강연에서 '미래 한ㆍ미 동맹 관계의 발전 방향'이라는 주제로 강연하며 이같이 말했다.

    2008년 8월 주한미군사령관을 끝으로 전역한 그는 자신의 발언이 미국 정부의 정책과 무관하며 은퇴한 군인이자 미국의 한 시민으로 견해라고 전제한 후 강력하고 확실한 의사를 북한에 보여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북한의 추가 도발에는 즉각적이고 비대칭적으로 보복 공격해야 하며, 미국은 헬리콥터 공격 대대를 한국에 복귀해야 하고, 전투대대를 전진배치해야 하며 항공모함을 포함한 해상 훈련을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울러 "한국은 강력한 미사일 방어체제를 갖춰야 하고,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구상(PSI) 훈련을 즉각 실시해야 하며, 북한의 추가 도발에는 즉각 보복해야 한다"며 "성실 신의 원칙을 위반한 김정일 정권의 도발에 대한 해법은 무력을 사용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말했다.

    벨 전 사령관은 한반도의 전면전 발발 시 북한이 핵무기를 사용할지에 대해 "정권 생존을 최우선 목표로 삼는 북한인 만큼 전면전이 터지거나 그때 핵무기를 쓰면 정권이 파멸한다는 점을 잘 알고 있으니 핵무기 사용은 거의 불가능할 것"이라고 밝힌 후 "하지만, 북한은 불량국가이고 핵무기를 갖고 있으니 (사용 가능성이) 없다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나아가 전면전 발발 시 중국의 참전 가능성에 대해서는 "한반도의 전면전과 중국의 참전 등은 아무도 원치 않는 것"이라며 "중국이 참전하면 중국의 경제는 100년 전 상황으로 후퇴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의 참전은 모든 관계가 훼손되는 것인 만큼, 북한의 군사적 도발에 군사적으로 맞설 수밖에 없는 상황을 중국에 설명하고 이해를 구해야 한다"며 "이는 6자회담 틀 밖에서 중국과 미국이 합의해야 하는 것이며, 이 과정에 한국 정부가 협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북한의 평화협정 체결 주장에 대해서는 "정전협정에 명시된 평화협정은 북한이 원하는 게 아니다"며 "그들이 원하는 평화협정은 남북한이 각각 독립국으로 존재하는 것이나 우리가 원하는 평화협정은 즉각 통일로 이끄는 것인 만큼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한미 동맹에 대해 "지난 10년간 효과도 있었지만 표류한 것도 사실"이라며 "한국 국민은 미국이 계속 헌신적으로 지원할 것이라는 점을 알아야 하며, 전시 군사작전권 이양은 한미동맹을 더 강화할 것이며 합리적인 결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반도 통일과 관련, "한미 안보 동맹은 어디까지나 방위동맹으로 선제공격을 하는 게 아니다"며 "다만, 군사적 도발에 대해서는 군사적으로, 비대칭적으로 맞서야 한다는 게 내 주장이며 한반도의 통일은 전면전을 각오한 바탕에서 나와야 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벨 전 사령관은 1969년 ROTC(학군장교) 소위로 임관, 1991년 걸프전 당시 '사막의 방패' ,'사막의 폭풍' 작전에 참전했고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주한미군사령관과 유엔연합사령관을 겸했다.

    그는 아들이 입양한 한국인 손녀와 함께 통일 후 비무장지대(DMZ)를 걷고 싶은 게 소원이라고 밝힐 정도로 한국에 대한 이해가 높다고 국제교류재단은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