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엇이 충청권을 위한 진정한 선택이냐?"
    29일 국회 본회의에서 세종시 수정안이 부결되자 충청권에서는 지식층을 중심으로 "몇 백년에 한번 올까 말까한 꿈이 결국 물거품 되고 마는 거냐"며 안타까워하는 분위기가 의외로 많았다고 한국경제신문이 30일 보도했다.

  • ▲ 국회가 본회의를 열어 세종시 수정법안을 표결 처리하기로 한 29일 충남 연기군 세종시 건설현장 내 정부청사 건물 공사가 한창 진행중이다. ⓒ 연합뉴스
    ▲ 국회가 본회의를 열어 세종시 수정법안을 표결 처리하기로 한 29일 충남 연기군 세종시 건설현장 내 정부청사 건물 공사가 한창 진행중이다. ⓒ 연합뉴스

    신문은 “일부 주민들은 ‘무엇이 충청권을 위한 진정한 선택이냐’를 놓고 냉정하게 되짚어 봤어야 했다며 목소리를 높였다”고 전했다.
    이진희 세종시발전주민협의회장은 신문에 "대기업은 물론 국내 최고의 대학들도 등을 돌리고 과학벨트마저 물 건너 간다면 남는 거라곤 속빈 강정뿐"이라며 "도대체 누구를 위해 세종시를 만들겠다는 건지 모르겠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주민들은 지난 22일 국회상임위에서 수정안이 부결됐을 때도 삼삼오오 모인 자리에서 드러내놓고 말은 못해도 10명 중 서너 명은 매우 아쉬워하는 눈치였다고 신문은 전했다.

    또 익명을 요구한 정부대전청사의 충청권 출신 모 국장급 간부는 신문에 "유령도시가 될 게 불을 보듯 뻔한 상황에서 원안을 선택한 충청인들의 결정이 과연 현명한가 되묻고 싶다"며 "정부대전청사의 전례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듯이 정부 부처가 내려온다고 지역경제에 도움이 된 게 뭐가 있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극단적으로 말하면 지역경제 활성화는커녕 일부 식당이나 술집, 대형마트 정도만 호황을 누리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신문은 “행정기관들을 따라 대전으로 이전한 기업이나 관련 업체는 손에 꼽을 정도”라며 “당초 정부청사 이전을 앞두고 연구기관들이 내놓았던 경제 파급효과는 인구 8만명 증가에 1만명 고용창출,소득 유발효과 1437억원 등이었지만 예상은 완전히 빗나갔다”고 대전의 예를 들었다. 공공근로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고용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 신문은 “지방세 등 세금 및 직접 소비 외에 기대됐던 생산유발 효과도 미미하다는 게 지역경제계의 분석”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