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국악원과 국립현대무용단이 만나 전통과 현대를 뛰어넘는다.

    국립현대무용단(예술감독 안애순)과 국립국악원(원장 김해숙)이 공동 제작한 '춤의 연대기'가 오는 25~26일 서울 서초구 국립국악원 예악당 무대에 올린다.

    '춤의 연대기'를 통해 안애순 안무의 '강가앙수울래애'와 박순호 안무의 '조절하다' 두 작품이 나란히 첫 선을 보인다. 이번 공연은 전통의 재발견과 현대무용의 실험과 모색을 위해 '전통의 현대화' 같은 기존의 프레임을 넘어선 협업을 도모하고자 두 기관이 함께 기획하고 제작했다.

    공연의 제목 '춤의 연대기'는 '오늘 현재의 춤을 춘다'는 의미를 강조해 담았다. 순차적으로 누적되는 역사가 아니라, 이미 현재 속에 과거가 공존하고 늘 현재였던 과거를 품고 있는 몸의 입체적인 역사를 의미한다. 

    첫 번째 무대에 오르는 '조절하다'는 국악의 현악기 연주법 중의 하나인 '농현'(弄絃, 현악기 연주에서 왼손으로 줄을 짚어 원래의 음 이외의 여러 가지 장식음을 내는 기법)을 현대무용으로 재해석했다.

    현을 누르고 튕기고, 뜯고 문지르는 순간 속에서 시시각각 변화하는 연주자의 움직임 역시 무용수의 움직임과 함께 어울리며 무대 위의 소리와 움직임을 서로 '조절'할 예정이다. 춤에는 정철인, 정재우, 류지수가, 연주에는 가야금 연주자 박경소 등이 함께 한다.

    김해숙 국립국악원장은 "국립현대무용단과 함께하는 현대적 안무와 전통 춤사위, 변용된 국악의 선율 역시 우리 스스로의 '연대기'를 만들어가는 것"이라며 "두 기관의 의미 있는 만남은 곧 이 시대의 새로운 공연예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두 번째 무대 '강가앙수울래애'는 전통 무용이자 놀이인 '강강술래'를 소재로, 강강술래에 내재된 다양한 요소들에 초점을 맞춰 우리 몸이 기억하는 춤과 그 춤을 기억하는 우리의 몸을 발굴한다.

    국립국악원 무용단 20여명이 안애순 예술감독의 안무를 소화하고, 김기영 작곡가가 오르골을 활용한 색다른 음악을 선보인다. 특히 '강강술래' 이미지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원'의 형태를 주요 모티프로 사용하지만, 회귀하는 패턴을 벗어나 원의 내부와 외부를 횡단하며 다양한 변형을 보여줄 예정이다.

    안애순 국립현대무용단 예술감독은 "이미 전통 안에는 지금의 삶이 들어있고, 나아가 미래의 모습까지도 예측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며 "춤이라는 것은 사라지고 아무것도 남기지 않는데, 우리가 실어 나르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의 연장선에서 몸이 기억하고 있는 춤에 대해 초점을 맞췄다"고 밝혔다.

    '춤의 연대기'는 11월 25일 저녁 8시, 26일 오후 3시, 국립국악원 예악당 무대에 오르며 예매는 인터파크를 통해 가능하다. S석 3만원, A석 2만원이다.

    [사진=국립현대무용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