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건국한 대통령 기록물, 건국 68년만에 최초 전시회정치공세로 파묻힌 현대사 핵심자료 18만쪽, 이제서야 햇빛정갑용 총장 "한국인의 역사 개척사, 학계서 연구 활성화를"
  • 연세대 [우남 이승만 문서 특별전] 개막! 10월31일까지

    이승만이 돌아왔다,
    좌편향 역사 고치러!


    대한민국 건국 대툥령 이승만이 돌아왔다.
    하와이에서 1965년 눈감은 그가
    38년만에 연세대 캠퍼스에 나타났다.

    [우남 이승만 문서 특별전] 개막!

    미국-소련과 싸우며
    천신만고를 뚫고 대한민국을 세운
    이승만의 파란만장한 90평생 역사기록물 전시회가
    대한민국 건국 68년만에 최초로 열린 것이다.

  • ▲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 건국 정부수립기념식장의 이승만 대통령.
    ▲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 건국 정부수립기념식장의 이승만 대통령.

    북한 김정일과 [NLL 흥정] 대화를 담은 [노무현 기록물]이
     [수정-삭제-폐기-반역] 논란을 달구는 요즘,
    국가기록원의 [국가기록물 3호] 이승만 대통령 문서 공개는
    큰 화제를 불러 모으기에 충분하다.


<연세대 이승만 연구원>(원장 류석춘 교수)이
지난 8일 연세대 학술정보원 전시실에서 개막한
[우남 이승만 문서 특별전:10.8~31]은
지난 1995년 조선일보사가 해방50주년을 맞아
사진중심으로 열었던 [이승만 나라 세우기] 특별전] 이후
두 번째 이승만 전시회가 된다.

이번 [문서 특별전]은
구한말(1875)에 태어나 5.16후 호놀루루에서 숨진
[이승만 생애 90년]을 아우르는 방대한 기록물 18만여쪽 중에서
문서-사진등 50여점을 추려 내놓았다.

이승만 기록물은
조선 멸망사, 독립운동사, 대한민국 건국사, 북한 침략사, 한미-한일 외교사는 물론,
언어, 문학, 정치 경제 사회 사상사등
우리나라 근현대사를 망라한 역사 연구의 핵심적 자료다.

이런 핵심자료가
연구는커녕 정치적 희생물로 매장되어 멸실-훼손되다가
이인수 박사의 노력과 독지가들의 도움으로 살아남아,
겨우 햇빛을 보게 된 것이다.
  • ▲ 전시장을 돌아보는 정갑용 연세대 총장(왼쪽)과 류석춘 이승만연구원 원장.
    ▲ 전시장을 돌아보는 정갑용 연세대 총장(왼쪽)과 류석춘 이승만연구원 원장.

  • 정갑용 연세대 총장은
    “이 문서를 학계는 물론 일반인과 학생들에게도 널리 소개함으로써

    우남 연구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하여 오늘의 전시회를 기획하였다”고 말하고
    다음과 같이 역사적 의미를 설명했다.


    “이승만 박사는
    조국이 국권을 상실한 후
    국내는 물론, 상하이, 워싱턴, 하와이 등 망명 생활 속에서
    조국의 독립을 위해 매진하였고,
    그 혼란 속에서도
    한국 근현대사에 있어서 주요한 공적 기록과 개인적 기록들을 충실히 보존하였다.   

    3.1운동과 임시정부 관련 문서들 중에는
    공적(公的)인 문서와 함께,

    각종 선언서, 선포문, 청원서, 전단(傳單), 전문(電文),
    문 스크랩 자료들까지
    정리되어 있을 뿐 아니라,

    미국 유학생활 관련 문서철에도
    선교사들의 추천서,
    성적표, 사진과 기차표까지
    세심하게 정리․보관한 것을 볼 수 있다.

    이 자료들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까지
    한국인이 스스로 근현대사를 어떻게 개척해 왔는지를 잘 보여 주는 구체적인 사료들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이처럼 방대하고도 중요한 <이승만문서 컬렉션>을 통해서
    우리는 독립운동가이자 건국대통령으로서
    이승만 박사의 업적뿐만 아니라,
    기록 보존가로서의 새로운 면모를 보게 된다.“

  • ▲ 이승만박사 연보 앞에 선 양자 이인수 박사.
    ▲ 이승만박사 연보 앞에 선 양자 이인수 박사.

    이승만 박사의 양자 이인수 박사는
    “우남 어른을 다시 만난 듯 기쁘다”면서.
    [이승만 문서]의 기구한 행로를 밝혀 주목을 끌었다.

    “4.19직후 윤보선 정권은
    이화장의 가재와 모든 자료를 몽땅 경무대로 실어갔다.

    다행히 서류캐비닛 하나만 남았는데
    5.16후 1962년 폭염이 내리쪼이던 여름날,

    왕십리 김종완씨 민가에서 인수하여
    리어카에 싣고 이화장까지 걸어서 운반해왔다.

    그후 정부측에서 돌려 받은 의류등 유물과 문서들은
    좀 먹고 곰팡이에 썩어서 복원이 불가능한 것도 많았다.
    트렁크에 들어있던 독립운동 자료가 썩지 않은 것이 천만다행이었다.

    1994년 삼성 이건희 회장의 후원으로
    이화장에 우남사료연구소를 설치,

    유영익 교수(현 국사편찬위원장)와 이승만연구원의 오영섭 교수가
    사료정리를 시작했다.

    시설 미비로 고심 중에
    최송옥 여사가
    부암동 집과 부속 임야등 2,400평을
    연세대에 기증함으로써
    현대한국학연구소를 개설했고,

    이화장의 사료도 연세대에 기증하여
    현재의 이승만 연구원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 ▲ 이승만 연구를 위해 주택과 임야를 연세대에 기증한 최송옥 여사.
    ▲ 이승만 연구를 위해 주택과 임야를 연세대에 기증한 최송옥 여사.

    이승만 연구를 위해 재산을 기증한
    최송옥 여사는
    “이제서야 이런 전시회를 열게 되다니
    건국대통령에게 면목이 없다”
    면서
    “정부와 언론이
    하루 빨리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어서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역사를 바로 세워주기 바란다”
    거듭 당부했다.

    최여사가
    막대한 재산을 연세대에 기증한 것은
    백낙준 전총장의 친구 아버지 최기식씨가
    이승만박사를 도와 독립운동을 했던 뜻을 기리자는 목적에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