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정한 진보정당의 싹은 살아나는가

     진보신당 대의원 대회에서 민노당과의 진보통합정당 건설 합의안이 부결됐다. 놀랍지만 반가운 소식이다.
    필자는 민주노동당이 2002년 17대 총선에서 대거 원내 진입에 성공했을 때 민노당이 자생적 사회주의 정당으로 자리 잡아서 재야 극렬세력이 아니라 제도권으로 진입한 책임 있는 정책 정당, 더 나아가서 건전한 수권정당으로 커 나가길 기대한다는 글을 썼었다. 그러나 그 기대는 철저히 부숴졌다. 민노당에 대한 기대는 완전히 사라졌다.

     한국사회는 자생적 진보정당인 민노당이 커나갈 토양이 비옥한데도, 왜 이런 실패를 맛볼까?
    그 이유는 민노당이 아직도 20세기 스타일 진보 정당의 한계를 한 치도 못 벗어났기 때문이다. 필자는 몇 년전 민노당이 발전하려면 세 가지 사항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진보정당 왜 진보 못하고 있나” 동아일보 2006-06-08).

    첫째, 성장, 경쟁체제, 그리고 세계화에 대해 무조건적인 반대만 할 것이 아니라 적절한 처방전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외면과 종북주의에서 탈피해야 한다. 셋째, 대한민국 역사에 대한 정통성을 인정해야한다. 그러나 민노당은 이 세 가지 점에서 단 한치의 진전도 이루지 못했다.
    그 결과는 나락으로의 추락이었다. 결국 민노당 내 종북주의에 대한 비판이 생겨났다. 조승수 전의원, 심상정 의원이 본격적으로 문제제기를 했고, 뒤이어 주대환, 홍세화씨가 가세했고, 나중엔 진중권씨까지 종북주의를 맹렬히 비판했다.

     민노당 창당의 산파역이었던 주대환 민노당 전 정책위 의장은 “민노당은 원래 영국 노동당을 모델로 창당된 당이고, 이 모델의 핵심은 ‘실용적 좌파’인데, 민노당이 국회에 진출한 이후 사회에 적응하지 못했지만 소멸하지 않은 김일성 주의자들이 갈 데가 없으니까 당에 들어와 기생하면서 노선이 변질됐다”고 말했고, 홍세화씨는 당내 다수파인 NL계열 ‘자주파’를 “광신자집단” “사교집단”으로 '비유했다. 진중권씨는 “종북파는 진보가 아니라 수구 중에서도 가장 반동적인 세력이어서, 늘 그래왔듯이 민주주의의 형식에 '기생'하여 종파적, 패권적 행태를 계속 할 것”이라 주장했다. 그리고 민노당 내에서 종북주의가 아닌 사람들은 “진보신당”으로 분당했다.

     그러나 민노당은 이후에도 계속 절망적인 종북노선을 유지했다.
    얼마 전 열린북한방송 하태경대표는 과거 운동권 동료였던 이정희 민노당 대표에게 보내는 공개서한에서 민노당은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에 대해서 북한보다 대한민국을 더 공격하는 모습”을 보였고, 북한의 3대 세습 문제와 인권문제에 대해 침묵하고 북한인권법에 결사적으로 반대했다고 맹비판을 가했다.

    그런데 단지 실리적 이유에서 진보신당과 민노당의 합당이 논의됐다. 사람들은 어리둥절했다.
    민노당은 전보다 더 종북적인데, 종북주의 때문에 분당한 진보신당이 왜 다시 그들과 당을 함께 하고 투항하려는가. 그것은 원칙에 대한 배반에 다름 아니었다.

     과거 주체사상파의 맹장이었고 고려대 총학생회장을 지낸 최홍재씨는 9월 1일 목요일 오전에 진보신당 당사 앞에서 “진보신당 당원 동지들께 일천배(一千拜)를 드리며” 온 몸으로 호소했다.

    “존경하는 진보신당 당원 동지들. ... 저는 20대 때 학생운동과 재야운동을 하였습니다. 주변머리가 없었던지 세 차례 감옥생활도 하였습니다. 이런 까닭에 좌파들의 민중에 대한 진실하고 헌신적인 사랑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다. ... 김정일세습체제를 반대하고 북한인권을 위해 싸우는 당원님과 저는 동지라 믿는 것입니다. ...”

    일심회 사건을 계기로 분당했던 사람들이 왕재산 사건이 진행되는데도 고작 국회의원 몇 명 만들려고 북한의 조선노동당 2중대인 민노당과 다시 합당한다면 진보신당은 조선노동당의 3중대가 되는 것이고 결국 한국에서 진정한 진보의 가치는 사라지고 진보의 싹은 사라질 것이라 호소하며 그 더운 날 일천배를 강행했다. 그의 정성이 통하였던가? 진보신당 당원들은 용감하고 현명한 선택을 했다. 대한민국에서 진정한 건전 좌파정당의 싹이 다시 살아나는 듯한 느낌이다.

     강규형 (명지대 기록대학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