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歷史담당 교사양성 '左傾化 메커니즘' 해부 
      
     평균 3차례에 걸친 左傾化 교육을 받는다.
    金泌材   
     
    [요약] 중등학교(中等學校) 역사교사를 지망하는 한국의 젊은이들은 고교시절 전교조 교사와 좌편향 교과서를 통해 좌경이념(左傾理念)의 1차적 세례(洗禮)를 받는다.
     
     이들은 고교 졸업 후 중등학교 교원양성기관인 사범계대학, 일반대학의 역사교육과 및 교직과정, 교육대학원 등을 거치면서 左派성향 교수 및 교재를 통해 左傾理念이 공고화된다. 이들은 대학 졸업 후 자체 시험과 면접을 통해 私立學校 교사가 되거나, 중등교사 임용시험을 거쳐 公立學校 교사로 임용된다. 두 가지 모두 여의치 않을 경우 일선 학교와 계약을 맺어 교사신분이 보장되는 ‘시간제-기간제 비정규직 교사’가 되어 학생들을 가르친다.
     
     公立學校 교사를 지망하는 역사학 및 역사교육 관련 전공자들은 통과의례(通過儀禮)처럼 2개의 서울 소재 유명 교원임용 학원의 역사관련 강좌(講座)를 수강한다. 소위 교원임용의 명문으로 정평이 난 이들 학원의 강사는 모두 左派이다.
     
     이처럼 평균 3차례에 걸쳐 左傾化 교육을 받은 역사교육 전공자들은 정식 교사가 된 이후 전교조와 연계된 역사교과 담당 교사 모임인 ‘전국역사교사모임’(약칭 ‘전역모’)에 가입, 자신들만의 사상·이념·정보를 공유하며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左傾化를 유도하고 있다.
     
     ■ 역사담당 교사를 양성하는 교수 집단의 이념적 성향
     
     현재 中等學校 역사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은 사범계대학(한국교원대 포함), 일반대학(역사교육과 및 교직과정), 교육대학원 등으로 삼원화(三元化) 되어 있다.
     
     교과부가 올해 발간한 ‘2011학년도 교원양성기관 현황’을 기초로 역사교육을 전공한 사범계대 및 일반대, 그리고 교육대학원 졸업자를 산출한 결과 2009년 이후 매해 평균 1천여 명 가량이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필기시험과 자체 면접을 통해 사립 중·고등학교 교사가 되거나, 중등교사 임용시험을 치러 서울-경기를 포함한 전국 14개 지역의 公立學校 교원이 된다. 일례로 2009년에는 163명, 2010년에는 153명의 역사교육 전공자들이 높은 경쟁률(예: 2010년도 서울지역 역사담당 교사 임용시험 경쟁률: 28.1 대 1)을 뚫고 임용시험을 거쳐 中等學校 역사담당 교사로 채용됐다. 문제는 이처럼 어려운 시험을 통과하고 역사담당 교사로 채용되는 인원들의 상당수가 左편향된 역사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의 左傾化는 公立, 私立이 없다.
     
     이유는 中等學校 역사담당 교사가 될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들부터가 편향된 역사의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역사 교육 분야에서 한국 근현대사를 담당한 교수들의 이념적 성향을 예로 들면 이 같은 사실은 더욱 극명해진다. 한국 근현대사 특히 해방 이후의 정치사에 관한 연구는 1970년대 중반까지는 그다지 활기를 띄지 않았다. 기성 역사학자들은 현대사와 관련된 사항을 ‘현재 진행 중인 사안’으로 간주해 과거의 일을 연구대상으로 삼는 역사학자가 연구할 대상이 아닌 것으로 치부했다. 그러던 것이 1970년대 중후반을 거치면서 운동권 출신 학자들이 朴正熙 정부를 타도의 대상으로 삼으면서 한국 근현대사에 관한 연구가 활기를 띄기 시작했다. 이들의 연구 활동은 기득권 계층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가진 연구자들, 그리고 유신체제에서 탄압받던 비판적 지식인들과 접목됐다. 이들 3자의 연대를 거쳐 1980년대 ‘운동권의 바이블’이라 할 수 있는 《解放前後史의 認識》이라는 도서가 출판됐다.
     
     문제의 책을 집필한 학자들은 대부분이 학생운동권 출신의 젊은 연구자들이었으며, 이들에 의해 한국 현대사 연구가 붐을 이루었다. 이들은 1980년대 중반까지 대학에서 시간강사로 일하다가 1987년 이후 학원민주화의 바람을 타고 대학의 전임교수(專任敎授)로 대거 채용됐다. 이후 한국 근현대사 연구는 이들 《解前史》 세대에 의해 주도됐다. 이들 《解前史》세대는 기존의 독립운동사 연구자들과 협력, 한국 근현대사 연구의 중심세력이 됐다.
     
     이들은 또 좌파적 民衆史觀에 기반을 둔 각종 근현대사 연구회 및 단체를 결성, 역사문제를 넘어 정치적 사안까지 관여하며 여론을 주도하는 등 막강한 ‘카르텔’(cartel)을 구축했다. 이들 단체의 활동은 좌파성향 교원단체와 그 맥을 같이 함께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1) 左편향 역사학자들은 2004년 국회에서 노무현 前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이 가결되자 ‘수구 거대야당의 대통령 탄핵을 비판한다’는 제목의 성명(2004년 3월16일)을 발표했다. 서울대와 연세대를 포함한 36개 대학의 역사학과 교수들은 당시 성명에서 헌법과 법률에 의한 국회의 정당한 탄핵소추를 ‘폭거’로 규정하고,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한국 역사를 후퇴시키는 심각한 사태라고 생각한다”면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었다. “지금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마치 국민의 뜻에 따라 대통령을 탄핵했고 그것이 합법적 절차에 따른 것인 양 분식하고 있지만, 이는 국민들로부터 퇴출을 요구받는 수구집단이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하여 자행한 집단적 폭력 행사에 지나지 않는다…(중략) 이에 우리 역사학자들은 역사의 발전과 진보를 위하여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지금의 사태에 대하여 즉각 사죄하고, 자신들이 자행했던 탄핵과 관련된 모든 행위가 무효임을 스스로 선언할 것을 촉구하는 바이다.”
     
     2) 2009년 6월9일에는 민족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소, 한국역사연구회, 한국근현대사학회, 역사학연구소, 민족운동사학회 등 6개 한국사 관련 역사단체와 각 대학 및 연구소에 소속된 역사학자 281명이 ‘이명박 정부는 독재정권은 반드시 붕괴된다는 역사적 교훈을 잊었는가’라는 제목으로 이른바 ‘역사학회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자살이후 발표한 당시 성명에서 역사단체 및 역사학자들은 ▲전직 대통령을 죽음에 이르게 한 데 대해 그 진실과 책임소재를 국민 앞에 정확히 밝힐 것 ▲소수 기득권층을 위해 시행되는 각종 정책을 폐기하고, 비정규직 노동자·장애인·빈민을 위한 정책을 시급히 강구할 것 ▲미디어관련법 강행처리 기도 중단 및 언론·출판·집회·시위의 자유 보장 ▲대북 대결정책 기조 포기 및 평화와 화해, 협력을 위한 정책의 시행 등을 촉구했다.
     
     3) 2009년 6월9일 6개 한국사 관련 역사단체의 성명이 발표된 지 9일 후 전교조 주도로 16,171명의 교사들이 이른바 ‘교사 시국 선언’을 발표했다. 당시 이들 교사들이 정부에 요구했던 사안들은 앞서 역사단체들이 요구했던 것과 내용에 있어 일맥상통(一脈相通)했다. 구체적으로 ▲공권력의 남용에 대해 국민 앞에 사과하고 국정을 쇄신할 것 ▲언론과 집회와 양심의 자유와 인권을 보장할 것 ▲특권층 위주의 정책 중단 및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정책을 추진할 것 ▲미디업 법 강행 중단 및 한반도 대운하 재추진 의혹 해소 ▲자사고 설립 등 경쟁만능 학교정책의 중단 및 학교운영의 민주화 ▲빈곤층 학생 지원 및 학생 인권 보장 강화 등이었다.
     
     4) 이명박 정부들어 새로 발간된 6종의 고교 한국사 교과서 필진에는 교수 출신이 모두 9명이다.(삼화출판사, 법문사 발간 교과서에는 교수 출신 필진 없음) 이 가운데 7명의 교수가 2008년 8월12일 정부 주도의 건국절 제정 철회를 요구했던 역사학회 회원들이다. 당시 건국절 제정철회를 촉구했던 14개 역사학회 가운데 역사문제연구소, 한국역사연구회, 한국근현대사학회의 경우 2009년 6월 ‘역사학회 시국선언문’ 발표에 함께 참여했던 단체들로 4종의 좌편향 고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에 참여한 7명의 교수들이 속해 있는 단체이기도 하다.
     
     당시 단체들은 ‘건국절과 현대사(現代史) 박물관 건립 철회를 촉구한다’는 제목의 성명에서 “광복절을 건국절로 명칭을 바꾼다면 이는 1948년 8월15일의 대한민국 정부수립만을 경축하자는 것으로 된다”면서 ‘건국절 제정’이 광복절의 의미를 축소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성명은 이어 “건국 60주년 기념사업이 日帝의 식민 지배를 미화하려는 뉴라이트 계열의 학자들과 특정인을 ‘국부’(國父)로 만들려는 학자들을 중심으로 편향된 방향에서 진행되고 있는 데 대해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여기서 이들 단체가 지적한 ‘특정인’은 국부(國父) 이승만(李承晩) 대통령을 의미한다. 성명은 또 정부가 현대사 박물관 건립 계획을 발표한 것에 대해서도 “한국 현대사에 대한 학계의 쟁점이 많은 상황에서 자칫하면 일부 학자들의 편향된 시각만 담긴 박물관이 만들어 질 수 있다”면서 박물관 건립을 백지화 할 것을 요구했다.
     
     한편, ‘천재교육’(교사 출신 필진 2명이 전교조 소속)이 발간한 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경우 교수 출신 필진 5명 가운데 주진오 상명대 교수, 박찬승 한양대 교수, 이신철 성균관대 연구교수, 임성모 연세대 교수 등 4명이 역사문제연구소(이사장 서중석)의 연구위원 및 연구원이다. 역사문제연구소의 이사장인 서중석 성균관대 교수는 학계에서 이승만 대통령의 건국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밝혀온 대표적 인물이다.
     
     그는 남북한 ‘정부수립론’을 주장하며 “이승만을 건국의 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은 창피한 일”(2008년 8월24일자 경향신문)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비상교육’이 발간한 고교 한국사 교과서에는 교수출신 필진이 1명으로 도면회 대전대 교수가 한국역사연구회 회장이다. ‘미래엔컬쳐그룹’이 발간한 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경우 2명의 교수출신 필진 가운데 한철호 동국대 교수가 한국근현대사학회 감사로 활동 중이다. ‘지학사’가 발간한 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경우 정재정 시립대 교수가 유일한 교수출신 필진으로 역사문제연구소 운영위원, 역사교육연구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처럼《解前史》세대 학자들은 역사학계의 중진 교수가 되어 자신들이 양성한 《解前史》후학들과 한 몸이 되어 대학에서 역사를 전공한 학생들의 의식화를 주도하고 있다. 일선에서 역사교육을 담당한 교사들은 대학 입학과 함께 《解前史》세대와 그 후학들이 독점 공급하는 한국 근현대사 관련 지식을 전수 받아 왜곡된 지식을 시정할 기회를 갖지도 못한 채 어린 학생들에게 한국 근현대사를 가르치고 있다. 공고한 ‘左傾 사이클’이 형성된 것이다.계속(조갑제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