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봉하마을 분향소 밥값만 10억원, 간식이 4억4000만원…"

    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 경비로 총 45억 6800만원이 소요된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 2006년 거행된 최규하 전 대통령의 국민장 때는 3억 3700만원이 들었다.

    '국장·국민장에 관한 법률'(제 5조 제 2항)에 따라 국민장에 소요되는 비용은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그 일부를 국고에서 보조할 수 있다. 정부는 그간 12차례 국민장을 모두 전액 국고 지원한 전례에 따를 가능성이 높다.

    8일 정부 한 관계자에 따르면 국민장 비용 추산액 45억 6800만원 가운데 봉하마을 분향소에서만 32억원이 사용된 것으로 추산됐다. 분향소 설치에는 2300만원 밖에 들지 않았지만 100만명이 넘는 추모객의 식대와 간식, 조화 및 음료 접대에 26억원 가량이 들었다. 식대는 2500원으로 계산했다. 반면 서울역과 역사박물관에 설치된 분향소에는 모두 합쳐 1500만원의 운영비가 소요됐을 뿐이다.

    이번 국민장 비용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게 된 것은 3년 전보다 물가가 올랐고 추모 인파가 많이 몰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 분향소를 포함한 전국 300여개 분향소에는 29일 국민장이 끝날 때까지 누계 인원 500만명 이상의 추모객이 다녀갔다.

    그러나 추모객 인원이 정확히 추산되지 않은 관계로 실제 봉하마을 분향소에 운영에 든 음식값 등의 비용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장의위는 식대·조화 등의 봉화마을 분향소 운영 경비는 유족측 자료 확인시 변동 가능하다고 밝혔다.

    영결식에는 13억 5000만원이 든 것으로 추정됐다. 영결식 진행에 필요한 영구차 임차료, 대형LED전광판, 제단설치 공사비, 제단 꽃장식 비용 등 행사 물품 구입 비용과 처음으로  거행한 노제에 국립무용단, 국립국악합창단 등 예술단을 지원하는 비용이 포함됐다.

    22개 중앙언론사, 38개 지역언론사에 게재한 신문공고료만 5억5000만원. 서울역 광장 노제에도 2억원이 소요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영결식장 부지정리를 위한 석재 운반에 1억5000만원, 영결식장 설치와 운구차 등에 1억5000만원, 영상 및 음향장비 등 임차료가 1억5000만원, 초청장과 출연자 사례비로 1억원의 경비가 사용된 것으로 추산됐다.

    이같이 사상 최대 규모로 치러진 노 전 대통령 국민장에 대한 정부 지원을 놓고 벌써 논란 조짐이 일고 있다. 조갑제 전 월간조선 대표는 "노 전 대통령 국민장에 40억원 이상의 세금이 들었다고 하는데 건국 이후 한 개인 장례에 이처럼 많은 예산을 쓴 것은 처음"이라며 "납세자 권리로서 우리는 이 돈이 정당하게 쓰여졌는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변희재 미디어발전국민연합 공동대표도 "국민 한 명으로서, 세금을 국가에 내는 납세자 한 사람으로서 노 전 대통령 장례식에 국민 세금은 단돈 1원도 투입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 바 있다.

    행사를 주관한 행정안전부는 49재가 끝난 이후 유족측과 협의를 거쳐 정확한 장례비용을 산출,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