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제까지 버틸까?”

    박상천 중도통합민주당 공동대표를 두고 하는 말이다. 전방위적으로 대통합 ‘압박’을 받고 있는 박 대표의 결단 여부에 범여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단 범여권의 지배적인 분위기는 “박 대표가 더 이상은 ‘버티기’가 힘들지 않겠느냐”는 전망이다.

    25일에도 김대중 전 대통령(DJ) 차남 김홍업 의원과 박광태 광주시장, 박준영 전남지사가 탈당계를 제출하고 범여권 대통합 신당 합류 대열에 동참했다. 김 의원의 탈당은 DJ 의중으로 해석되면서 박 대표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와 더불어 호남 지역의 일부 광역단체장 및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 등도 대통합 신당 합류를 촉구하며 탈당 등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김한길 대표를 축으로 한 통합민주당 내 신당계열 의원 20명도 오는 29일 오후 별도 모임을 갖고 박 대표를 최대한 설득하는 동시에 집단 탈당 시기 등 최종 입장을 조율하기로 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정국 구도상 박 대표가 소수당으로의 전락이 뻔한 상황에서 더 이상 ‘열린우리당 해체론’ 등 기존입장만을 고수한 채 머뭇거릴 수 없다는 게 범여권 안팎의 판단이다. 실제 박 대표도 이같은 고민의 흔적이 역력한 표정이다. 박 대표는 이날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가진 광주·전남 단체장 및 광역·기초의원 간담회에서 “당원 70%는 독자적으로 가자고 하지만 이 또한 험난한 길이고 앞을 내다보면서 안전한 길로 끌고 가야 하는 지도자로서 당원 결정대로 무조건 따라갈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일단 대통합 신당 합류 가능성을 열어 논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때문에 범여권 대통합 신당, 이른바 ‘미래창조대통합민주신당’이 중앙당 창당대회를 갖는 내달 5일 내지는 늦어도 내달 중순(15일)까지는 박 대표가 가부간 결단을 내리지 않겠느냐는 해석이다. ‘협상의 귀재’로 평가받는 박 대표가 막판 협상 카드를 내밀고 범여권의 대통합 신당에 합류 쪽으로 자세 전환을 할 가능성이 농후해졌다는게 범여권 안팎의 판단이다.

    따라서 향후 박 대표가 내밀 협상 카드에 귀추가 주목된다. 형식은 대통합 신당과 당 대 당 통합을 하는 모양새지만 내용은 대통합 신당에 흡수통합되는 신설합당 방식, 즉 과거 새천년민주당의 신설합당 방식이 될 것이라는 게 지배적인 관측이다. 박 대표도 이미 지난 23일 당 최고위원회의 등을 통해 “(대통합 신당과) 중도대통합정당을 결성하기 위한 협상에 나설 것을 제안한다”면서 “협상이 타결되면 중도통합민주당은 제3지대 신당(대통합 신당)과 신설합당 방식으로 통합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와 관련, 범여권 사정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대통합 신당측이 ‘민주당의 정신을 계승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일정 정도 지분 문제에서 적절한 합의가 이뤄진다면 박 대표의 합류가 가능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사실 노무현 정부 실정 탓에 민주당이 지금까지 살아남았던 것 아니냐”면서 반사이익을 누린 점 이외에 정당으로서의 민주당 위치에 대해서는 평가절하했다. 사실상 이런 사정을 누구 보다 잘 아는 박 대표가 협상에서 무리한 요구 조건을 제시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 깔린 모습이다. 대통합 신당과 통합민주당이 7:3 정도의 지분 배분에, 박 대표가 대통합 신당의 대표를 맡는 방식이면 중도통합민주당이 참여하는 범여권의 대통합 신당이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의견들이다.

    이와 함께 민주당이 중도개혁통합신당과의 당 대 당 합당시 승계된 48억여원의 대선 빚 문제도 이참에 털고 가자는 의견도 일부 있는 분위기다. 대통합 신당 합류 방식으로 중도개혁통합신당 해체를 선언하면 자연적으로 부채 문제도 해결된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