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나라당 서울시당위원장인 박진 의원이 당내 경선 룰 논란에 대해 "선거인 등록제를 실시하고 전국 동시투표를 실시하자"고 제안했다. 박 의원은 10일 보도자료를 내고 "강재섭 대표의 자의적인 하한선 설정은 궁여지책일 뿐 근본적인 문제해결 방법이 아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선거인 등록제'는 홍준표 의원이 제안한 '유권자 등록제'와 비슷한 개념이다. 홍 의원은 전국 순회경선을, 박 의원은 동시투표를 주장한 점이 다르다.

    그는 "(경선 룰) 논란의 핵심은 일반국민참여 투표율인데, 낮은 투표율을 자의적인 하한선을 설정해 여론조사 반영비율을 인위적으로 높이는 것은 궁여지책일 뿐이며 근본적인 문제해결 방법이 아니다"며 "더욱 양 후보 캠프 간에 합의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전국위원회의 표결을 강행한다면 돌이킬 수 없는 분열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경계했다.

    "2:3:3:2 비율은 유지하되, 일반 국민의 투표율 제고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방안이 필요하다"는 박 의원은 "미국 등 선진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선거인 사전등록제' 도입을 검토해 일반 국민의 투표율을 획기적으로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반 국민의 투표율 제고를 위해서는 선거인 명부 확정 전에 적극적인 투표 의사를 확인하고 선거인으로 등록하는 '선거인 사전등록제'를 실시해야 한다"며 "일반 국민의 투표율이 높아지면 여론조사 반영비율 역시 동시에 높아짐으로써 결과적으로 당심과 민심의 반영비율을 투표기회와 투표결과에서 5대 5에 가깝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 의원은 "'선거인 사전등록제'와 당 지도부가 제안한 '전국 시·군·구 투표소 설치 및 동시선거'를 함께 실시하면 당원과 국민의 투표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이 안은 2:3:3:2 비율이라는 '원칙'을 지키면서도 민심을 반영해야 한다는 '명분'을 동시에 살릴 수 있는 합리적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박 의원이 제안한 '선거인 사전등록제'의 방법은 ▲한나라당 대통령후보 경선 참여를 희망하는 국민에게 직접, 우편, 인터넷 등의 방법으로 투표를 하겠다는 의사와 선거인 참여를 신청토록 한다 ▲신뢰받는 외부 전문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해 신청자 중에서 입체적 샘플링을 해서 선거인으로 확정 및 등록 ▲선거인 명부에 등록돼 있는 사람만 경선 당일 투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