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日에 통보한 시점보다 앞당긴 것은 '기상조건' 고려한 결과""7차 핵실험 연내 가능성 낮아… 내년에 핵실험·정찰위성 가능성"
  • ▲ 북한은 22일 전날 밤 발사한 군사정찰위성 1호기 '만리경-1호'의 발사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 북한은 22일 전날 밤 발사한 군사정찰위성 1호기 '만리경-1호'의 발사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은 2023년 11월 21일 22시 42분 28초에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성공적으로 발사했다"고 보도했다. ⓒ연합뉴스
    국가정보원이 북한의 군사정찰위성(만리경-1호) 발사 성공에 러시아의 도움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회 정보위원회 여야 간사인 유상범 국민의힘 의원과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국정원은 23일 오전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전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보고했다.

    국정원은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가 '성공적'이라는 판단과 함께 그 배경에 러시아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국정원은 그 근거로 지난 9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가진 회담에서 북한의 인공위성 개발을 돕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던 점을 들었다.

    당시 푸틴 대통령은 김 위원장에게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우주기지 내 시설을 소개하면서 북한의 인공위성 개발을 도울 것인지를 묻는 매체의 질문에 "그래서 우리가 이곳에 온 것"이라면서 북한과 군사·기술협력 가능성을 내비쳤다.

    국정원은 또 러시아와 북한이 정상회담 이후 1, 2차 발사체와 관련한 정보를 주고받은 정황이 확인된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북한이 설계도 및 1, 2차 발사체와 관련한 데이터를 러시아에 제공하고, 러시아가 그 분석 결과를 (북한에) 제공한 정황이 확인됐다"는 것이다. 다만 국정원은 구체적 정황은 "확인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북한이 일본을 통해 예고한 정찰위성 발사 시간을 앞당긴 이유는 '기상조건' 때문인 것으로 국정원은 분석했다.

    국정원은 "여러 가능성이 있지만 위성 발사의 최적 기상조건에 맞추려고 조기 발사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이는 1, 2차 정찰위성 발사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북한의 노력"이라고 봤다.

    국정원에 따르면, 북한은 인공위성 발사를 위한 기상조건이 21일 23시30분부터 22일 01시까지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했고, 인공위성이 날아가는 시간을 감안해 21일 22시43분 발사를 강행했다는 것이다.

    국정원은 아울러 북한이 "괌 미군기지도 촬영했다"고 주장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파악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정원은 "1차 정찰위성 발사 실패 때 수거한 잔해물을 분석한 결과 당시 탑재된 위성은 소위 정찰위성으로 가치 있는 '서브미터'(가로세로 1m 미만의 물체 식별)급이 되지 않는 위성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새로운 인공위성의 발전 속도가 통상 3년 정도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현재 북한이 괌 사진을 촬영했다는 영상을 공개하지 않는 한 인공위성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상황은 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북한이 올해 안해 7차 핵실험을 할 가능성도 낮다고 판단했다. "임박한 시일 내 북한의 7차 핵실험 징후는 포착되고 있지 않다. 풍계리에서도 발사 징후는 현재까지는 포착되지 않는다"며 "2023년에는 핵실험 가능성을 높게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국정원은 "다만 2024년이 되면 김정은 결심에 따라서는 언제든지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있다"며 "핵실험은 북한의 최고 지도자 결심에 의한 사안으로 보면 된다"고 덧붙였다.

    정찰위성의 추가 발사 가능성을 두고도 국정원은 "올해 안에 추가 발사는 어려운 것으로 보이지만 내년 발사는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고 언급했다.